|
암을 다루며 의미 있게 살아가기 암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근거기반 치료 |
편저자 | Gary Rodin, Sarah Hales |
역자 | 우정민 |
판형 | 크라운판 |
제본 | 반양장 |
페이지 | 320p |
ISBN | 978-89-997-3401-4 93510 |
발행일 | 2025-04-25 |
정가 |
24,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의학의 발전에 힘입어 과거보다 더 많은 진행성·전이성 암 환자가 정상적인 컨디션을 유지하며 오래 생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앞당겨진 ‘죽음과 죽어감’으로부터 자유로워지진 못했습니다. 이로 인한 고통과 슬픔은 환자와 가족의 뒤를 그림자처럼 늘 따라다닙니다. 만일, 이 고통과 슬픔을 방치한다면 늘어난 생존 기간만큼 고통만 늘어나게 됩니다. Managing Cancer and Living Meaningfully(CALM)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진행성·전이성 암 진단을 받은 환자가 남은 시간을 의미 있게 살아가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 만들어졌습니다. 이 책은 진행성·전이성 암이라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 환자들과 함께 걸어갈 방향을 제시합니다. 처음 이 분야를 접하는 이들에게는 든든한 길잡이가, 기존 전문가들에게는 자신감을 더해 줄 것입니다. 더 나아가 CALM이 다루는 실존적 고민과 정신치료의 핵심 개념들은 암 환자뿐만 아니라 더 넓은 범위의 환자를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에도 깊은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번역서가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한국의 독자에게
역자 서문
편저자 서문
들어가며: 워킹 운디드
CALM으로 이르는 우리의 여정
CALM은 무엇인가
근거기반
책의 구조
제1부 CALM의 토대
제1장 현대 삶에서 죽음의 의미
서론
왜 암인가
암 치료에서 인간성 상실
소비자 주도 건강관리
진행성 암 환자를 위한 정신치료
CALM의 출현
제2장 공포 관리
서론
외상 및 스트레스관련장애
진행성 암 환자의 외상성 스트레스
주 보호자에 대한 영향
공포관리이론
CALM의 역할
결론
제3장 천 명의 생명: CALM에 영향을 준 업적
서론
초기의 획기적인 연구
삶의 의지 연구
죽어감과 죽음의 질 연구
결론
제4장 애착 안정성
서론
애착이론
진행성 질병에서 애착과 돌봄
애착과 CALM
결론
제5장 정신화와 죽음
서론
정신화
치료에서 정신화
진행성 암에서 정신화
CALM 치료에서 정신화
정신화와 정체성 회복
사실에서 느낌으로
결론
제6장 치료결정과 치료과정
서론
진행성 암에서 자율성 문제
임상시험에서 치료 오해와 치료 오산
죽음과 관련된 디스트레스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예후를 알아 가는 과정과 죽음의 부각
사유를 위한 중립적 공간의 장점
결론
제7장 CALM과 죽음의 욕구
서론
진행성 암에서 죽음의 욕구
삶의 의지 상실과 죽음의 욕구의 의미
죽음의 욕구와 CALM의 잠재적 역할
결론
제8장 조개 속 진주: 외상 후 성장
서론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 모델
외상 후 성장과 암
외상 후 성장의 평가
치료과정
결론
제9장 CALM의 맥락
왜 CALM인가
조기완화의료와 지연된 완화의료
치명적인 암/진행성 암 발생 시, 디스트레스 치료를 위한 개입
전이성/진행성 암과 살아가는 환자를 위한 치료
말기 치료
정신치료 최적화의 장애물
결론
제10장 CALM의 평가 과정과 결과
서론
CALM의 영향 평가
적절한 치료 평가도구 선택
결과 측정 이상의 것
연구도구와 임상 치료의 통합
결론
제11장 CALM 교육 경험
서론
임상가가 CALM과 CALM 교육으로부터 받는 도움
결론
제12장 클리닉에서 글로벌로: CALM 교육, 연구, 애드보커시
서론
CALM의 보편성과 유연성
글로벌 CALM: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
글로벌 CALM 연구
결론
제2부 CALM 치료 매뉴얼
매뉴얼 소개
제13장 CALM의 근거, 토대, 목표
서론
CALM의 근거
CALM의 토대
CALM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목표
결론
제14장 CALM의 구조와 과정
서론
치료에 적합한 환자
CALM 치료자
형식
일반적인 치료과업과 지침
치료과정
결론
제15장 CALM의 영역
서론
영역 1: 증상 관리와 치료진과의 대화
영역 2: 자기,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 변화
영역 3: 영성과 삶의 의미와 목적
영역 4: 미래에 대한 준비, 희망, 죽음
결론
제16장 임상 실제와 지도감독에서 검사도구 활용
서론
CALM 치료에서 검사도구의 활용
CALM 지도감독
결론
제17장 CALM 치료사례
서론
사례 요약: 교수
사례 요약: 집을 찾아서
사례 요약: 집 정리와 죽음
사례 요약: 배려심 깊은 젊은 여성
간략한 사례
결론
에필로그
부록
찾아보기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