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복합의사소통장애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저자한경임
판형 4x6배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616p
ISBN 978-89-997-3357-4 93370
발행일 2025-04-25
정가 32,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복합의사소통장애와 AAC의 개념을 바르게 알고 언어와 문해력 발달의 관점에서 중재하는 방법을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사례와 함께 상세히 기술한 것이 특징이다. 이 책에 쓰인 사례들은 모두 필자가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의 교육 현장에서 직접 관찰하거나 경험한 사례를 바탕으로 제시한 것이다.

  먼저, 1장에서는 AAC 중재가 의사소통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언어발달의 전반적인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알기 위하여 의사소통과 언어발달의 이론적인 측면에 대해 구성하였다. 최근 학계에서는 말로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지 못하는 사람을 복합의사소통장애(complex communication needs)를 지닌 사람으로 지칭하고 AAC 중재의 대상으로 한다. 2장에서 이에 속하는 다양한 장애 특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AAC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국제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ISAAC)에서 널리 적용하고 있는 AAC 사용자의 유형과 AAC 사용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에 대해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AAC 중재를 위한 사정 방법으로 참여모델뿐만 아니라 미국의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관찰과 면담에 의한 다양한 사정 방법을 소개하고, 양식을 부록에 첨가하여 독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5장은 AAC 중재에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어휘의 중요성과 선정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6장에서는 학계와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AAC 중재 모델을 소개하고, AAC 사용자의 유형에 따른 중재 방법을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만나는 다양한 유형의 사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7장에서는 AAC 중재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략을 소개하고, 사례 및 사진과 함께 실제 적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학교에서 교과 수업과 문해력 수업, 개별화교육계획(IEP)과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AAC 중재가 적용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므로 특수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매우 유용한 이론과 실제의 자료가 될 것이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추천사
머리말

제1장 의사소통과 언어발달
1. 의사소통의 의미
2. 의사소통에 대한 관점의 변화
3. 의사소통의 이유
4. 의사소통 능력 발달 단계
5. 구어 산출의 의미
6. 언어의 의미
7. 언어발달 단계
8. 의사소통과 언어발달의 6단계
9. Brown의 화용론과 언어발달 단계
10. 의사소통 권리

제2장 복합의사소통장애의 개념
1. 복합의사소통 요구의 의미
2. 발달장애로 인한 복합의사소통장애
3. 인지적, 언어학적 손상과 후천적, 의학적 손상에 의한 복합의사소통장애

제3장 보완대체의사소통의 개념
1.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가 필요한 사람들
2.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의 개념
3.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의 구성 요소
4.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의 목적
5.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유형
6.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의사소통 능력

제4장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정
1.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정의 개념
2. 참여모델에 의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정
3. 관찰과 면담에 의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정
4. 초보 의사소통자에 대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정
5. 언어능력 사정
6.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정

제5장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어휘 선택과 배열
1.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에서 어휘의 중요성
2. 핵심어휘와 부수어휘
3.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어휘 선정
4.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어휘 배열

제6장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 유형과 중재 방법
1. 보완대체의사소통과 언어 중재
2. 언어발달과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 유형
3.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모델
4. 초보 의사소통자를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5. 맥락의존 의사소통자를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6. 독립적 의사소통자를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7. 의사소통 능력 모델에 의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8.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 유형에 따른 촉진자의 역할

제7장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전략
1.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의 기본적인 관점
2. 언어발달 모델을 적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3.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전략
4.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활용한 어휘와 구문 중재
5. 장애 유형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전략
6. 체계적 교수
7. 직접교수
8. 명시적 교수
9. 강화된 환경교수
10. 시각적 사고 전략과 화제생성 체계
11. 의사소통 능력 모델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전략
12.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을 적용한 보완대체의사 소통 중재

제8장 학교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1. 학교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계획
2. 학교에서 의사소통 능력 모델에 따른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3. 보완대체의사소통과 문해력 중재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