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복합의사소통장애와 AAC의 개념을 바르게 알고 언어와 문해력 발달의 관점에서 중재하는 방법을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사례와 함께 상세히 기술한 것이 특징이다. 이 책에 쓰인 사례들은 모두 필자가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의 교육 현장에서 직접 관찰하거나 경험한 사례를 바탕으로 제시한 것이다. 먼저, 1장에서는 AAC 중재가 의사소통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언어발달의 전반적인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알기 위하여 의사소통과 언어발달의 이론적인 측면에 대해 구성하였다. 최근 학계에서는 말로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지 못하는 사람을 복합의사소통장애(complex communication needs)를 지닌 사람으로 지칭하고 AAC 중재의 대상으로 한다. 2장에서 이에 속하는 다양한 장애 특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AAC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국제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ISAAC)에서 널리 적용하고 있는 AAC 사용자의 유형과 AAC 사용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에 대해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AAC 중재를 위한 사정 방법으로 참여모델뿐만 아니라 미국의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관찰과 면담에 의한 다양한 사정 방법을 소개하고, 양식을 부록에 첨가하여 독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5장은 AAC 중재에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어휘의 중요성과 선정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6장에서는 학계와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AAC 중재 모델을 소개하고, AAC 사용자의 유형에 따른 중재 방법을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만나는 다양한 유형의 사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7장에서는 AAC 중재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략을 소개하고, 사례 및 사진과 함께 실제 적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학교에서 교과 수업과 문해력 수업, 개별화교육계획(IEP)과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AAC 중재가 적용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므로 특수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매우 유용한 이론과 실제의 자료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