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사회복지론 현장 중심 |
저자 | 이효순, 권지현, 남은지, 양정빈, 추정인, 한수연 |
판형 | 4x6배판 |
제본 | 반양장 |
페이지 | 480p |
ISBN | 978-89-997-3363-5 93330 |
발행일 | 2025-04-25 |
정가 |
25,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이 책의 집필 동기는 의료사회복지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 단지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용 학문으로서의 가치와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도록 의료현장의 실무적인 내용과 이론을 통합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접한 학생들이 습득한 지식을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법과 지침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관련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개관이다. 건강의 개념 변화, 질병과 심리사회적 측면, 그에 맞는 의료사회복지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간의 삶과 건강의 문제를 생애주기별 건강문제로 탐색해 보고, 장애와 건강문제, 질병으로 인한 개인과 가족의 영향, 건강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 및 관점을 소개하고자 한 내용이 특이점이다. 더불어 의료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이해와 직무를 고찰하고 의료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실천기술인 모델이론들을 소개하였으며, 의료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문제해결모델이나 동기강화상담모델 등을 포함하였다.
제2부는 의료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주요 이슈로서 현재 변화되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과 제도를 소개하고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이해 및 의료사회복지 활동의 법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에 대두되는 이슈인 의료사회복지현장에서의 생명의료윤리와 의사소통기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의료사회복지실천과 지역사회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이해, 지역사회 내 사례관리, 퇴원계획과 지역사회 자원연계를 고찰하였다.
제3부는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실제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탐색해 보았다. 주요 질환별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실제, 이슈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실제 그리고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전망과 과제로 나누어 탐색해 보았다. 먼저, 각 질병에 대한 설명과 의료사회복지실천으로 환자와 가족을 둘러싼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접근을 고찰해 보았다. 이슈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실제는 호스피스와 완화의료, 학대 및 가정폭력, 자살, 공공보건의료와 의료사회복지, 공공보건의료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의료비 지원과 사회서비스로 분류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전망과 과제에서는 현재 국가자격증을 도입한 의료사회복지 실습과 수련 및 자격제도를 다루고 전망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마무리하였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머리말
제1부 의료사회복지의 개관
제1장 건강과 의료사회복지의 관계
1. 건강의 개념 변화
2. 질병과 심리사회적 측면
3. 의료사회복지의 역사와 필요성
4. 의료사회복지의 개념
제2장 인간의 삶과 건강의 문제
1. 생애주기별 건강문제
2. 장애와 건강의 문제
3. 질병으로 인한 개인과 가족의 영향
4. 건강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 및 관점
제3장 의료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이해와 직무
1. 의료사회복지실천 현장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능과 역할
3.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 및 팀 접근
4. 의료사회복지실천 과정
5.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의 질관리
제4장 의료사회복지실천모델
1. 위기개입모델
2. 인지행동모델
3. 문제해결모델
4. 역량강화모델
5. 동기강화상담모델
제2부 의료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주요 이슈
제5장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과 제도
1. 의료전달체계의 이해
2. 의료사회복지현장과 관련된 정책 및 제도의 이해
3. 의료사회복지활동의 법적 근거
제6장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 생명의료윤리와 의사소통 기술
1. 의료기관의 생명의료윤리와 환자의 권리
2. 의료진, 환자, 환자 가족과 ‘함께하는 의사결정’
제7장 의료사회복지실천과 지역사회
1.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이해
2. 지역사회 내 사례관리
3. 퇴원계획과 지역사회 자원연계
제3부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실제
제8장 주요 질환별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실제 Ⅰ
1. 암 질환
2. 심뇌혈관질환
3. 희귀질환
제9장 주요 질환별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실제 Ⅱ
1. 고혈압
2. 당뇨병
3. 만성콩팥병
4. 장기이식
제10장 주요 질환별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실제 Ⅲ
1. 척수손상
2. 치매
3. 정신건강 장애
4. 중독
제11장 이슈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실천 Ⅰ
1. 호스피스와 완화의료
2. 학대 및 가정폭력
3. 자살
제12장 이슈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실천 Ⅱ
1. 공공보건의료와 의료사회복지
2. 공공보건의료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3. 위기가구의 발굴과 지원
4. 의료비 지원과 사회서비스
제13장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전망과 과제
1. 의료사회복지 실습과 수련제도
2.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제도
3.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전망과 과제
부록-의학용어
찾아보기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