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에 들어서면서, 전래동화를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하고 보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전통문화와 첨단기술이 융합된 디지털 그림책은 단순한 읽기 자료를 넘어, 생동감 있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독자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교사는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아이들의 수준과 필요에 맞춘 디지털 그림책을 제작하고 교육에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디지털 시대의 그림책 제작과 활용: 전통문화와 첨단기술의 융합』이 호서대학교 디지털과 영유아교육연구소 총서 5로 기획, 집필되었습니다. 이 책의 제1부에서는 디지털 그림책의 탄생 배경과 역사적 흐름(제1장, 한유미). 디지털 그림책의 특성과 미래 전망(제2장, 한유미), 기본적인 제작 과정과 핵심 기술(제3장, 한유미) 등을 다루어 디지털 그림책의 이론적 이해를 돕습니다. 제2부에서는 스톱모션 기법(제4장, 조미경), 생성형 AI(제5장, 김윤희), AI 드로잉 도구(제6장, 민혜홍), 프레젠테이션 도구(제7장, 김정연), 디자인 도구(제8장, 최예숙), 메타버스(제9장, 김민재), 코딩(제10장, 오숙자), 증강 현실(AR)(제11장, 허선화), 게임(제12장, 심혜진)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그림책 제작 실제를 상세히 소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