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은 돌봄이해(제1부), 자기돌봄과 자기방임(제2부), 비공식적 돌봄(제3부), 공식적 돌봄(제4부), 인간중심돌봄과 돌봄정의(제5부)이다. 제1부 돌봄이해에서는 돌봄개념과 제도화, 돌봄권리(사회권),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 돌봄, 사회적 돌봄, 시설 돌봄 등에 관한 내용을 노인돌봄 관련 다학제 (예비)전문가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저술하였다. 또한 정든 지역사회 내에서 살아가기(Aging in Place), 보호연속성, 건강한 자기돌봄, 강점관점, 예방적 돌봄, 역량강화 등 주요 돌봄이론을 다루었다.
제2부 자기돌봄과 자기방임에서는 노인의 자기돌봄, 자기돌봄을 하지 못한 자기방임, 자기방임의 부정적 결과, 돌봄자의 자기돌봄과 소진, 자기돌봄 기술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의 건강(신체, 인지, 정신, 사회)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노인의 자기돌봄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자기돌봄을 지원해 주는 비공식적 및 공식적 네트워크의 활용방법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반면, 자기돌봄을 하지 못했을 때 발생하게 되는 자기방임의 위험, 징후, 증상, 그리고 대처방법 등을 포함하였다.
제3부 비공식적 돌봄은 가족에 의해 제공되는 비공식적 돌봄과정과 스트레스(위기)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며, 비공식적 돌봄 상황 전과 후에 보호연속성 보장의 관점에서 가족돌봄지원제도를 기술했다. 돌봄서비스는 각 개인(노인)의 의사결정을 통해서 활용되지만, 의사결정능력이 부족할 때 주변의 가족이나 친구 등 후견인의 의사결정지원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제4부 공식적 돌봄은 예방적 돌봄(통합건강증진사업, 건강생활지원사업), 지역사회돌봄(노 인맞춤돌봄서비스, 지역사회통합돌봄, 장기요양 재가급여), 시설돌봄 및 생애말기돌봄(노인주거 복지시설, 장기요양보험 시설급여, 요양병원, 호스피스) 등을 포함한다. 우리나라 공식적 돌봄제 도를 돌봄연속성 관점에서 예방적 돌봄, 지역사회 돌봄, 시설돌봄 및 생애말기돌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 국가로 일본, 스웨덴, 미국 등의 공식적 돌봄제도를 다루었다.
제5부 인간중심돌봄과 돌봄정의에서는 좋은 돌봄으로 인간중심돌봄과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돌봄정의가 실현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좋은 돌봄으로 인간중심돌봄이 무엇인지 개념화하였고, 노인돌봄에 관련된 전문가가 인간중심돌봄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실천·정책 사례를 기술하였다. 또한 인간중심돌봄의 사회적 및 물리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돌봄정의(Caring Justice)에서는 가정 내 보이지 않는 돌 봄에서 사회적 책임, 즉 평등과 민주적인 분담의 돌봄 사회화로 노인돌봄이 변화하는 패러다임을 설명하였다. 앞으로 우리 사회가 갖추어야 할 정의로운 돌봄의 가치 및 방향성과 이를 이루기 위한 돌봄의 사회화 및 제도화가 무엇인지 작성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