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노인 주거공동체
행복한 노후를 위한 집
저자박소정, 김정근
판형 크라운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224p
ISBN 978-89-997-3277-5 93330
발행일 2025-01-10
정가 17,000원
E-BOOK 정가 17,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 책은 정책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진화하는 노인 주거 모델 중 공동체성을 핵심으로 하는 모델들의 범위와 특성에 초점을 두고, 앞으로의 방향성과 개발 방안 등을 다양하게 제시한다.
이 책은 대부분의 노인이 함께 늙어 갈 수 있는 주거공동체 모델의 구현을 위한 이론적, 실증적 지식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와 고민의 결과를 엮은 것이다. 주거 분야는 여러 학문에서 접근하고 있고 저마다 실증 연구 방법도 매우 상이하기 때문에 ‘노인 주거’만을 구분해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노인 중심의 주거 모델만을 위한 이론이나 실증 사례만을 처음부터 다룰 때 구체적인 노인 주거 모델이 해당 국가의 어떤 주거 맥락에서 생겨난 것인지 알기가 어렵다. 따라서 한 국가의 정책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노인 주거 모델 중에서 ‘공동체성’을 핵심으로 하는 모델의 범위와 특성에 초점을 둔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들어가며: 코로나19 팬데믹과 주거공동체 그리고 함께 잘 늙어 가기

제1장 노인 주거에 대한 개념적 이해
1. 주거 체계와 노인 주거 연구
2. 환경 노년학, 에이징 인 플레이스 그리고 주거 모델
3. 개인-환경 적합성 관점에 따른 주거 기반 AIP

제2장 노인 주거공동체의 개념과 국내외 실증 연구
1. 노인 주거공동체의 이해와 개념적 정의
2. 지역사회 기반 노인 주거공동체 모델들과 실증 연구: 국내 주거공동체 문헌 검토

제3장 한국 노인 주거공동체 실태와 방향
1. 한국 노인의 삶과 주거 실태
2. 노인 주거공동체를 위한 한국 노인 주거 관련 제도
3. 노인 주거공동체를 위한 한국 노인 주거 관련 주요 이슈

제4장 한국 노인 주거공동체의 방향 및 실천적 함의
1. 한국 노인 주거공동체의 방향
2. 한국 노인 주거공동체 서비스 개발
3. 노인 주거공동체 인력 구성
4. 노인 주거공동체 서비스 전달 체계
5. 입주민 참여 디자인 워크숍 모형

나가며: 노인 주거공동체의 새로운 논의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