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판에서 개정된 내용을 책의 차례에 따라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장 평가의 이해’에서는 공식적 사정과 비공식적 사정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고자 ‘공식적 평가와 비공식적 평가’를 [보충설명 1-2]로 추가하여 설명하였다. 둘째, ‘제2장 측정의 기본개념’에서는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성장참조평가와 능력참조평가’를 [보충설명 2-3]으로 추가하여 설명하였고, 지수점수와 관련하여 ‘지수점수 산출의 예’를 [보충설명 2-5]에 제시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그림 2-10>을 추가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에 더하여 ‘객관도와 실용도’를 본문에 추가하여 설명하였다. 셋째, ‘제4장 관찰’에서는 관찰의 유형이 추가되었고, 기록방법의 종류 및 유형이 수정되었으며, 관찰자간 신뢰도와 비교하여 관찰자내 신뢰도를 추가로 설명하였다. 넷째, ‘제5장 면접’에서는 면접의 유형이 수정·보완되었다. 다섯째, ‘제7장 수행사정’에서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과 더불어 우리나라 학교현장에 도입된 ‘과정중심평가’를 [보충설명 7-2]에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여섯째, ‘제3부 사정도구’에서는 ‘제13장 지각 및 운동’과 ‘제14장 적응행동’의 제목이 각각 ‘제13장 감각/지각 및 운동’과 ‘제14장 적응행동 및 지원요구’로 수정되었으며, ‘제16장 특수영역 I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제외한 모든 장(제9장, 제10장, 제11장, 제12장, 제13장, 제14장, 제15장, 제17장)에서 사정도구가 삭제·추가되어 결과적으로 3판보다 2개 증가한 총 78개의 사정도구가 소개되어 있다. 일곱째, 용어해설에서는 필요한 경우 기존 용어(예: 공식적 사정, 비공식적 사정 등)에 대한 정의를 수정하였으며 4판에서 추가된 용어들(예: 공식적 평가, 비공식적 평가 등)에 대한 정의도 제시하였다. 여덟째, 평소에 3판을 보면서 수정이나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작성해 놓은 메모를 점검하고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