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현대학습이론(원서 2판)
편저자 Knud Illeris
역자 전주성, 강찬석, 김태훈, 김영배
판형 크라운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416p
ISBN 978-89-997-3195-2 93370
발행일 2024-09-20
정가 23,000원
E-BOOK 정가 23,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 책은 2008년 출간된 Knud Illeris의 고전 저작 10주년 기념판으로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학습이론가들의 최신 저작을 업데이트하여 수록한 결정판이다. 이 책에는 John Hattie와 Gregory Donoghue, Sharan Merriam, Gert Biesta, Carolyn Jackson의 챕터가 추가되어 있다. 이 책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문가들이 모여 학습이란 무엇이며 인간의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시하며, 학습의 사회적·심리적·정서적 맥락을 다루고 있다.
이 명확하고 일관된 개요에서 Knud Illeris 교수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복잡한 프레임워크와 학습의 특정 측면을 설명하는 장들을 모았다. 각 국제적인 전문가들은 성인학습이론, 학습전략, 학습과정의 문화적 및 사회적 성격과 같이 자신이 평생에 걸쳐 연구해 온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중요한 텍스트 또는 완전히 새로운 요약을 제공한다.
학습의 핵심 개념을 명확히 설명하는 『현대학습이론』은 학생들을 위한 완벽한 참고서이자 이상적인 입문서를 제공한다. 이 책은 학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모든 연구자와 학자들에게 귀중한 자원이며, 이론가들의 직접적인 말로 현재의 학습이론에 대한 상세한 종합을 제공한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역자 서문
◆ 현대학습이론 2판을 펴내며
◆ 편저자 서문

1. 인간의 학습에 대한 하나의 포괄적 이해
Knud Illeris
배경 및 기본 가정
두 가지 기본적인 과정과 학습의 세 차원
일상적인 학교생활의 예
네 가지 학습 유형
학습 장애물
내외적 학습조건
결론
참고문헌

2. 사회적 인간이 되기 위한 학습 내가 되기 위한 학습
Peter Jarvis
도입
인간학습에 대한 이해
인간학습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지향하며
한 인간의 평생학습
결론
참고문헌

3. 무슨 ‘모양(form)’이 전환하는가 전환학습에 관한 구성적·발달론적 접근
Robert Kegan
도입
전환학습과 그것의 성공의 문제
정보학습과 전환학습
무슨 모양이 전환하는가 ― 인식론의 구심성
평생에 걸친 현상으로서의 전환학습
참고문헌

4. 확장학습 활동이론의 재개념화를 위하여
Yrjö Engeström
도입
활동이론의 세대와 원칙들
확장학습 ― 새로운 접근 방식
헬싱키 아동건강센터의 학습과제
학습의 주체는 누구이고 어디에 있는가
그들은 왜 학습하며, 무엇이 그들을 그렇게 하도록 하는가
그들이 학습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들은 어떻게 학습하는가 ― 핵심 행동은 무엇인가
결론: 학습발달의 방향성
참고문헌

5. 프래그머티즘: 창의적인 상상력으로서의 학습
Bente Elkjaer
도입
프래그머티즘의 출현
지식 사건(knowledge-affair)으로서의 경험의 개념
삶(lives)과 생활(living)로서의 경험의 개념
기초는 반사궁(reflex arc)에 대한 비판이다
Dewey의 정교한 경험 개념
실천 vs. 경험
지식의 통로로서의 탐구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6. 성인학습이론: 진화 및 미래 방향
Sharan B. Merriam
도입
성인학습에 관한 기초 이론들
성인학습의 맥락기반 모델
성인학습 분야의 최근 이론
성인학습의 미래 이론 구축 및 실천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7. 학습모델: 학습전략의 효과 최적화
John A. T. Hattie & Gregory M. Donoghue
도입
학습모델
입력과 결과
학습 에이전트
학습전략
논의와 결론
감사의 말씀
참고문헌

8. 전환학습이론
Jack Mezirow
도입
기초
전환학습이론
이슈
전환학습에 관한 관점
대학원 성인교육에서 전환학습 촉진하기
성인의 앎에 대한 보편적 차원
참고문헌

9. 이해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
Howard Gardner
도입
접근 방식의 일반화
참고문헌

10. 학습의 정서적 차원
Carolyn Jackson
도입
정서와 감정의 개념화
두려움, 불안 그리고 학교 교육
교육 분야에서의 두려움/불안 연구
결론
참고문헌

11. 전기학습 - 평생학습 담론 안에서
Peter Alheit
도입
거시적 관점: 교육시스템 재편으로서 평생학습
미시적 관점: 전기학습의 현상학적 측면
국제 평생학습 의제에 대한 새로운 연구질문
참고문헌

12. 자기(the self)의 생애사
Mark Tennant
도입
자기
정체성
주체성
참고문헌

13. 문화, 정신 그리고 교육
Jerome Bruner
계산주의와 문화주의
정신이론
참고문헌

14. 경험, 페다고지 그리고 사회적 실천들
Robin Usher
경험, 페다고지 그리고 사회적 실천들
라이프스타일 실천들
직업적 실천들
고백적 실천들
비판적 실천들
현대 성인학습의 맥락에서 경험 재고하기
참고문헌

15. 청소년의 ‘정상학습의 문제들’: 근본적인 문화적 신념의 맥락에서
Thomas Ziehe
청소년의 학습 스타일에 대한 상징적 맥락으로서의 기본 신념
근본적인 신념의 현대화
청소년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구조화를 지지하는 의미의 필요성

16. 학습에 대한 사회적 이론
Etienne Wenger
도입
개념적 관점: 이론과 실천
참고사항
참고문헌

17. 전이학습과 성찰적 퍼실리테이션 일자리를 위한 학습 사례
Danny Wildemeersch & Veerle Stroobants
도입
성찰적 및 제한적 활성화 사이에서
전이학습
전이학습에 관한 교육적 관점
결론
참고문헌

18. 학습의 정치 중단하기
Gert Biesta
도입: 학습, 학습, 학습
‘학습’의 문제
학습의 정치
학습의 탈자연화는 학습의 재정치화이며, 학습의 재정치화는 학습의 탈자연화를 요구한다
학습 없는 해방
예시: Foucault와 위반의 실천(practice of transgression)
결론
참고문헌

◆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