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다양한 문화를 가진 다양한 사람의 독특성을 이끌어 내어 이를 조화롭게 통합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언어적·문화적 다양성을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출발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교실을 만들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교육 담당자의 다문화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교육정책적·제도적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 이상과 같은 점에 초점을 두어 이 책은 제1부와 제2부로 나누어 총 13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주로 문화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측면으로서 문화의 이해, 다문화주의의 이해,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역량의 이해, 다문화 교사교육 그리고 다문화교육 정책 등 6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2부는 주로 다문화교육의 실제 또는 실천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유아 다문화교육의 이해, 누리과정과 유아 다문화교육, 유아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방법, 유아 다문화교육 환경, 유아교사와 다문화교육, 유아 다문화교육을 위한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 그리고 유아 다문화교육의 실제 등이다. 이 책은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예비교사, 현직교사 그리고 유아 다문화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유아 다문화교육의 개념, 내용과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문화-다문화교육-다문화역량-유아 다문화 교사교육의 실제’라는 맥락에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유아 다문화교육을 집필하고자 많은 고민과 노력을 기울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