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청소년상담사 2급 필기 이론편1, 2
2024 최신판
편저자 이우경, 이미옥
판형 4x6배판
제본 무선철
페이지 464/392p
ISBN 978-89-997-3177-8 93180
발행일 2024-07-30
정가 43,000원
E-BOOK 정가 43,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 책은 상담의 기본 원리부터 다양한 상담 기법, 청소년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접근 방법까지 다루고 있어, 청소년상담사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최신 기출문제(2014~2023년)를 반영한 이론서를 통해 실전 시험에 대비할 수 있다. 이 책은 전문가인 편저자들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할 만한 자료를 제공하여, 청소년상담사로서의 기본 역량을 향상시키고,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력자가 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머리말
이 책의 구성과 특징
시험안내

제1교시_필수과목

제1과목 필수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Chapter 01 청소년 내담자의 이해
1. 청소년기의 정의
2.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
3. 청소년기 발달과제와 문제
4.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
Chapter 02 청소년 상담의 이해
1. 청소년 상담의 특성
2. 청소년 상담의 목표와 영역
3. 청소년 상담의 원리 및 상담의 기능
4. 청소년상담사의 자질 및 태도
5. 청소년 학교상담
6. 청소년 상담 윤리
Chapter 03 청소년 상담이론
1. 정신분석 상담
2. 분석심리학
3. 개인심리학
4. 행동주의 상담
5. 합리적 정서행동 상담(REBT)
6. 인지치료
7. 인간중심 상담
8. 실존주의 상담
9. 게슈탈트 상담
10. 교류분석 상담
11. 현실치료
12. 해결중심 상담
13. 여성주의 상담
14. 통합적 상담
Chapter 04 청소년 상담의 실제
1. 청소년 상담의 진행과정
2. 청소년 상담의 상담기법과 상담유형
3. 청소년 상담의 현장


제2과목 필수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Chapter 01 상담연구의 기초
1. 상담연구
2. 상담연구의 과학적 접근
3. 상담연구 윤리
4. 상담연구의 유형
5. 연구보고서 작성
Chapter 02 상담연구의 절차
1. 연구문제 및 가설설정
2. 연구구인의 조작적 정의
3. 연구대상자 선정을 위한 표본추출
4. 변인결정 및 측정도구의 설정
5.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Chapter 03 상담연구의 타당도
1. 실험설계의 타당도
2. 통계적 결론 타당도
3. 측정도구(검사도구)의 타당도
4. 측정도구(검사도구)의 신뢰도
5.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Chapter 04 실험설계
1. 실험연구의 개관
2. 실험설계의 유형
3. 단일사례연구 설계
4. 집단 간 설계
5. 집단 내 설계
6. 기타 실험설계
Chapter 05 질적연구
1. 질적연구의 개요
2. 현상학적 연구
3. 문화기술지 연구
4. 사례연구
5. 내러티브 연구
6. 담화분석
7. 근거이론 연구
8. 합의적 질적연구론(CQR)
Chapter 06 상담학 연구를 위한 통계와 자료 분석
1. 통계의 기본개념
2. 가설
3. 통계 및 자료 분석의 방법


제3과목 필수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Chapter 01 심리검사의 기초
1. 심리검사 및 심리평가
2. 평가면담과 행동평가
3. 심리검사의 분류
4. 심리검사의 제작과 기초통계
5. 척도의 종류
6. 신뢰도 추정방법
7. 타당도
8. 문항분석
Chapter 02 지능검사
1. 지능검사의 개요
2. 웩슬러 지능검사
3.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 (K-WAIS-Ⅳ)
4. 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4판 (K-WISC-Ⅳ)
5.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5판 (K-WISC-Ⅴ)
6.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ABC, K-ABC-Ⅱ)
7. 사회성숙도 검사와 바인랜드 적응행동척도 2판
Chapter 03 객관적 성격검사1 - MMPI-2 / MMPI-A
1.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의 이해
2.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Ⅱ(MMPI-2)
3. 청소년용 다면적 인성검사(MMPI-A)
4. MMPI의 해석
5. 다면적 인성검사 Ⅱ 재구성판(MMPI-2-RF)
Chapter 04 객관적 성격검사2 - MBTI, TCI, PAI, NEO-PI-R, 16PF
1.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검사(MBTI)
2. 기질 및 성격검사(TCI)
3. 성격평가 질문지(PAI)
4. 성격 5요인검사(NEO-PI-R)
5. 16PF와 다요인 인성검사
Chapter 05 투사 검사1 - 로샤
1. 로샤 검사
2. 로샤 검사의 채점 및 해석
3. 로샤 검사의 구조적 요약
4. 로샤 검사의 특수지표
Chapter 06 투사 검사2 - TAT, DAP, HTP, SCT
1. 주제통각검사(TAT)
2. 인물화 검사(DAP)
3.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
4. 문장완성검사(SCT)의 이해
Chapter 07 진로검사, 신경심리검사, K-CBCL
1. 진로검사
2. 진로검사1 - 홀랜드 직업 탐색검사
3. 진로검사2 - 직업적성평가
4. 신경심리검사
5. 신경심리검사1 - 벤더 게슈탈트 검사(BGT)
6.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도평가 척도(K-CBCL)


제4과목 필수 이상심리
Chapter 01 이상심리학의 개념
1. 이상심리학의 개요
2. 이상심리의 분류 및 평가
3. 이상심리학의 주요 이론
Chapter 02 DSM-5에 근거한 정신장애
1.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s)
2.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
3. 양극성 및 관련 장애
4. 우울장애
5. 불안장애
6. 강박 및 관련 장애
7.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
8. 해리성 장애
9.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10. 급식 및 섭식장애
11. 배설장애
12. 수면각성장애
13. 성관련 장애
14. 성격장애
15.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16. 물질 관련 및 중독장애
17. 신경인지장애
18. 임상적 주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상태
19.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진단 상태


제2교시_선택과목

제1과목 선택 진로상담
Chapter 01 청소년 진로상담
1. 청소년 진로상담의 기초
2. 청소년 진로상담의 목표
3. 청소년 진로상담자의 역량과 자세
Chapter 02 진로선택이론
1. 파슨스(Parsons)의 특성-요인이론
2. 홀랜드(Holland)의 성격이론
3. 로(A. Roe)의 욕구이론
4. 블라우와 밀러(Blau & Miler)의 사회학적 이론
5. 다위스와 롭퀴스트(Dawis &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
Chapter 03 진로발달이론
1. 긴즈버그(Ginzberg)의 직업선택발달이론
2. 슈퍼(Super)의 생애진로발달이론
3. 타이드만과 오하라(Tiedeman & O’Hara)의 의사결정발달이론
4. 하렌(Harren)의 진로의사결정이론
5. 갓프레드슨(Gottfredson)의 제한-타협이론(직업포부 발달이론)
6. 크럼볼츠(J. Krumboltz)의 사회학습진로이론
7. 계획된 우연이론 모형
Chapter 04 진로상담이론의 최근 동향
1. 진로의사결정이론 및 직업적응이론, 진로전환이론
2. 피터슨, 샘슨, 리어든의 인지정보처리이론(CIP)
3. 가치중심적 진로접근 모형
4. 자기효능감 이론
5. 사회인지 진로이론(SCCT)
6. 사비카스(M. Savickas)의 구성주의 진로발달이론
Chapter 05 청소년 진로상담의 실제
1. 진로상담의 과정
2. 진로상담의 기법
3. 진로심리검사
4. 진로정보의 활용
5. 개인 진로상담 과정과 집단 진로상담의 실제
6. 특수영역 진로상담의 실제
7. 기타 진로상담 관련 사항

제2과목 선택 집단상담
Chapter 01 청소년 집단상담의 기초
1. 집단상담의 기초
2.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
3. 집단상담의 유형
4. 집단상담의 발달단계와 과정
Chapter 02 청소년 집단상담의 이론
1. 정신분석적 집단상담
2. 개인심리학적 집단상담
3. 행동주의적 집단상담
4. 합리정서행동적 집단상담(REBT)
5. 실존주의적 집단상담
6. 인간중심적 집단상담
7. 게슈탈트 집단상담(형태주의적 접근)
8. 현실치료적 집단상담
9. 교류분석적 집단상담
10. 사이코드라마 집단상담
11. 해결중심 단기치료 집단상담
12.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13. 동기강화 면담 집단상담(MI)
Chapter 03 청소년 집단상담의 실제
1. 청소년 집단상담의 특징
2. 청소년 집단상담자와 리더십
3. 청소년 집단상담의 계획 및 평가
4. 청소년 집단상담의 윤리

제3과목 선택 가족상담
Chapter 01 가족상담의 기초
1. 가족상담을 위한 체계적 조망
2. 가족상담의 기본개념
3. 가족갈등과 가족 스트레스
4. 가족상담과정
5. 가족상담윤리
Chapter 02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1. 체계이론
2. 의사소통 가족상담모델(1950년대)
3. 정신역동적 모델(대상관계이론, 1970년대)
4. 보웬의 다세대 가족상담
5.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상담
6.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상담
7. 전략적 가족상담
8.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9. 이야기치료
10. 정서중심모델(EFT)
Chapter 03 청소년 가족, 부모상담
1. 청소년 가족 상담의 개요
2. 청소년기의 가족 문제와 가족상담(폭력, 중독, 자살 등)
3.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상담
4. 가족평가

제4과목 선택 학업상담
Chapter 01 학업상담의 기초
1. 학업상담의 이해
2. 학업상담의 이론적 배경: 학습동기 이론
Chapter 02 학업 관련 요인
1. 인지적 요인
2. 정의적 요인
3. 환경적 요인
Chapter 03 학업 관련 문제 및 평가
1. 학업관련 문제
2. 학업상담에서 심리검사의 이해와 활용
3. 학습문제의 평가 및 진단 절차
Chapter 04 학업 관련 문제
1. 학습부진
2. 학습부진 영재아
3. 주의집중력 문제
4. 시험불안
5. 발표불안
6. 학습 부적응유형
Chapter 05 학업 관련 장애 및 검사
1. 학습장애
2. 지적발달장애
3.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4. 학습장애 선별과 진단(중재반응모델, RTI)
Chapter 06 학습전략
1. 학습전략
2. 인지 및 초인지 전략
3. 노트필기 학습전략
4.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실제
5. 기타 학업에 도움이 되는 방법

참고자료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