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이해(3판)
저자이승희
판형 4x6배판
제본 양장
페이지 472p
ISBN 978-89-997-3151-8 93370
발행일 2024-07-30
정가 27,000원
E-BOOK 정가 27,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번 개정판은 2판과는 달리 PDDs 대신 단일범주인 ASD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데, 3판에서 개정된 내용을 개괄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판은 1부 개관3개 장으로 구성하였으나 3판은 1부 개관1장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기초2장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관련법2개 장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제1장에서는 ASD의 관련용어를 학술적 관련용어, 법적 관련용어, 기타 관련용어로 나누어 제시함으로써 관련용어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였으며 ASD의 진단체계를 DSM-III(APA, 1980)부터 최근에 발행된 DSM-5-TR(APA, 2022)까지 살펴보았다.

둘째, 2판은 2부 전반적 발달장애(PDDs)의 유형에서 PDDs5개 하위유형(자폐장애, 레트장애, 아동기붕괴성장애, 아스퍼거장애, 불특정 전반적 발달장애)을 한 장씩 개별적으로 다루었으나 3판은 3DSM 전반적 발달장애(PDDs)의 개념의 한 장으로 묶어 소개하였으며 뒤이은 4장 자폐스펙트럼장애(ASDs)의 개념5DSM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개념과 함께 2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개념을 구성하였다.

셋째, 2판은 3부 전반적 발달장애(PDDs)의 중재2개 장으로 나누어 행동적 중재와 교육적 중재를 각각 다루었으나 3판은 3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중재5개 장으로 구성하여 행동적 중재와 교육적 중재 외에 단일중재전략과 종합중재모델, 생물학적 중재, 인지적 중재를 추가하여 살펴보았다.

넷째, DSM-5ICD-11ASD라는 단일범주를 도입하면서 이전에는 부수적인 관련 특성으로 기술되던 감각적 자극에 대한 비정상적 반응(, 비정상적 감각반응)’을 주요 특성으로 간주하고 ASD 진단준거에 포함시켰다. 따라서 2판에 비해 3판에서는 ASD의 비정상적 감각반응에 관한 내용이 더 광범위하게 다루어졌다.

다섯째, 이전에는 PDDs의 하위유형 중 하나인 자폐장애를 저기능자폐증(LFA)과 고기능자폐증(HFA)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는데, PDDsASD로 대치한 DSM-5가 발행된 이후에는 ASD를 저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LFASD)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HFASD)로 구분하기도 한다.

여섯째, 저자가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느낀 부분들도 최대한 점검하고자 노력하였다. 예를 들어, 5장에서 ASD의 평가와 관련하여 2000년 이전에 출시된 검사도구는 삭제하고 새로 개발되거나 개정된 검사도구를 추가하였으며, 8장에서는 행동의 기능평가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보완하였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목차 PDF파일

제3판 머리말
제2판 머리말
제1판 머리말


Part 01 개관

Chapter 0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기초
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관련용어
2.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체계

Chapter 02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관련법
1. 한국
2. 미국


Part 02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개념

Chapter 03 DSM 전반적 발달장애(PDDs)의 개념
1. 전반적 발달장애(PDDs)의 역사적 배경
2. 전반적 발달장애(PDDs)의 유형

Chapter 04 자폐스펙트럼장애(ASDs)의 개념
1. 자폐스펙트럼장애(ASDs)의 역사적 배경
2. 자폐스펙트럼장애(ASDs)의 유형
3. 전반적 발달장애(PDDs)와 자폐스펙트럼장애(ASDs)의 관계

Chapter 05 DSM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개념
1.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역사적 배경
2.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진단기준
3.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출현율
4.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원인
5.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특성
6.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경과
7.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감별진단
8.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평가
9. 저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Part 03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중재

Chapter 06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단일중재전략과 종합중재모델
1.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중재에 대한 연구
2.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단일중재전략에 대한 연구
3.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종합중재모델에 대한 연구
4.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증거기반실제

Chapter 07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생물학적 중재
1. 약물적 중재
2. 비약물적 중재

Chapter 08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행동적 중재
1. 행동수정의 개념
2. 응용행동분석의 개념
3.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
4. 행동적 중재전략
5. 행동적 중재의 실제

Chapter 09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인지적 중재
1. 인지적 행동수정의 개념
2. 인지적 중재전략

Chapter 10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교육적 중재
1. 환경적 구조화
2. 학업적 지원
3. 감각적 지원
4. 통합교육


부록
부록 1 전반적 발달장애(DSM-III)
부록 2 전반적 발달장애(DSM-III-R)
부록 3 전반적 발달장애(DSM-IV)
부록 4 전반적 발달장애(DSM-IV-TR)
부록 5 자폐스펙트럼장애(DSM-5)
부록 6 자폐스펙트럼장애(DSM-5-TR)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