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아직까지 AAC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자료가 부족한 국내 현실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많은 내용을 소개하고자 하였으며,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들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적용하고자 할 때 교사가 알아야 할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앞부분에서는 AAC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 그리고 AAC 사용을 위한 진단 및 평가와 교수전략에 대하여 중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하였다. 1장에서는 AAC에 대하여 정확한 개념적 이해를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정의 및 적용 대상, 사용 효과 등에 대한 설명과 함께 최근 동향을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AAC에 사용되는 다양한 상징체계, 보조도구와 표현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3장에서는 개별 대상자의 필요를 파악하여 이에 맞게 AAC 구성요소들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진단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4장부터 8장까지에서는 학교에서의 AAC 교육 실행과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AAC 교육을 위한 준비와 교수전략을 살펴보았으며, 5장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손짓기호인 ‘손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손담은 2018년 처음 개발된 이후 전국적으로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6장에서는 학교에서의 AAC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보았으며, 7장에서는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AAC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8장은 최근 학교 현장과 연구논문에서 많이 강조되고 있는 AAC 활용 문해학습과 교과교육에서의 AAC 접목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그 외의 중요한 AAC 관련 이슈들로서 도전행동과 AAC, 가족과의 협력, 성인기 장애인을 위한 AAC 지원을 살펴보았다. 9장 도전행동과 AAC에서는 의사소통적 기능의 도전행동에 대하여 AAC 중재를 실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전행동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들에게 AAC는 매우 중요하고 효과적인 중재이다. 10장에서는 가족과의 협력에 대하여 소개하였으며, 마지막 11장에서는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장애성인을 위한 AAC 지원의 필요성과 현재의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장애인들의 자기결정 및 자립 생활을 위해 의사소통 지원은 매우 중요하지만 아직까지 학교 교육에 비해 성인기 장애인을 위한 AAC 지원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