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구성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진보주의 교육의 개념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고, 그 범위를 20세기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으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진보주의 교육은 단지 아동 중심 교육이나 그와 연관된 교수학습 이론과 방법으로 환원되지 않으며, 현실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진보를 이루려는 문제의식과의 내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했다. 제2장에서는 진보주의 교육의 배경이 된 미국 진보주의 시대(the progressive era)의 사회적 조건과 상황 그리고 실용주의를 위시하여 그 당시 등장했던 다양한 갈래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제3장의 내용은 대부분 크레민의 『학교의 변형』에 나타난 진보주의 교육의 역사를 재구성한 것이며, 그 뒷부분의 역사를 위해서는 심성보 교수님 등이 공역한 헤이즈(W. Heyes)의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진보주의, 학교개혁에 여전히 유효한가』를 참고하여 보충하였다. 진보주의 교육의 전개과정은 미국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변동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거기서 ‘아동 중심’과 ‘사회개혁’이라는 두 개의 이질적이면서도 상호 연관된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담아내려 하였다. 제4장과 제5장은 모두 존 듀이를 다룬다. 제4장은 듀이의 철학사상을 다루고, 제5장은 교육 사상을 다룬다. 듀이의 철학사상은 『철학의 재구성』의 구성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핵심 내용을 필자의 말로 해설하고 재서술하고 보충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제5장의 내용은 듀이의 교육사상에 대한 체계적인 서술이 아니라, 필자가 교육철학 강의를 통해서 그리고 이 책을 쓰면서 갖게 된 관심사와 의문점들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제6장 맺음말은 미국 진보주의 교육의 역사를 간단히 회고하고, 존 듀이의 다음과 같은 말로 결론을 맺는다. “새로운 교육운동의 앞날을 염려하는 사람들은, 진보주의 운동을 주장하는 사람들까지 포함하여, 교육에 관한 무슨, 무슨 ‘주의’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진정한 의미의 교육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교육현실과 교육이론을 검토해야 합니다.” 진보주의 교육은 어떤 이론이나 개념의 틀이 아니라, 살아 있는 생생한 교육의 현장에서 출발하여 개인의 성장과 민주적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교육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