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 교육은 사회복지교육의 핵심 교과목으로, 사회복지 서비스가 필요한 개인, 집단, 가족과 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자원을 연계하고 통합하여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직접적인 실천기술을 습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천기술의 기반이 되는 실천지식, 실천에 따르는 윤리적 이슈를 다루어 사회복지 전문 가치와 지식에 기초하여 실천할 수 있는 실천적 역량을 배양해야 한다. 사회복지 고유의 지식과 가치를 기반으로 실천할 때 인간과 사회에 대한 균형 잡힌 관점을 가지고 과학성과 예술성, 즉 실천이성과 감수성을 겸비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실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1부 일반주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전문적 기반은 2판의 내용과 동일하다. 제2부 사회복지실천 모델에서는 2판의 내용에서 문제해결 모델만을 제외하였다. 문제해결 모델은 사회복지의 기본적 실천 방법에 녹아 있기 때문에 별도의 모델로 다루지 않는 경향이 있어 제외하였다. 제3부부터는 2판과 마찬가지로 대상별 실천기술을 다루었다. 제3부 개인 사회복지실천에서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와의 실천기술에 대해 현실을 반영하고 내용을 심화하였다. 또한 코로나19 기간에 현장에서 비대면 디지털 실천기술의 요구가 증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도 다양한 비대면 실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반영하여 디지털 실천기술을 추가하였다. 제4부 집단 사회복지실천은 기존의 내용과 큰 변화는 없다. 집단사회복지 실천 모델과 유형, 집단의 발달 단계에 따른 개입 기술, 집단개입 기술, 단계마다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집단 운영 방법 등을 자세히 다루어, 집단 전체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집단 대상의 고유한 실천기술을 익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제5부 가족 사회복지실천에서는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체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가족 전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가족 이론과 가족 실천 모델을 익히고 적용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3판에서는 가족의 정의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소개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가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