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사회복지실천기술론(3판)
저자김정진
판형 4x6배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464p
ISBN 978-89-997-3062-7 93330
발행일 2024-02-25
정가 24,000원
E-BOOK 정가 24,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교육은 사회복지교육의 핵심 교과목으로, 사회복지 서비스가 필요한 개인, 집단, 가족과 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자원을 연계하고 통합하여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직접적인 실천기술을 습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천기술의 기반이 되는 실천지식, 실천에 따르는 윤리적 이슈를 다루어 사회복지 전문 가치와 지식에 기초하여 실천할 수 있는 실천적 역량을 배양해야 한다. 사회복지 고유의 지식과 가치를 기반으로 실천할 때 인간과 사회에 대한 균형 잡힌 관점을 가지고 과학성과 예술성, 즉 실천이성과 감수성을 겸비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실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1부 일반주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전문적 기반은 2판의 내용과 동일하다. 2부 사회복지실천 모델에서는 2판의 내용에서 문제해결 모델만을 제외하였다. 문제해결 모델은 사회복지의 기본적 실천 방법에 녹아 있기 때문에 별도의 모델로 다루지 않는 경향이 있어 제외하였다. 3부부터는 2판과 마찬가지로 대상별 실천기술을 다루었다. 3부 개인 사회복지실천에서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와의 실천기술에 대해 현실을 반영하고 내용을 심화하였다. 또한 코로나19 기간에 현장에서 비대면 디지털 실천기술의 요구가 증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도 다양한 비대면 실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반영하여 디지털 실천기술을 추가하였다. 4부 집단 사회복지실천은 기존의 내용과 큰 변화는 없다. 집단사회복지 실천 모델과 유형, 집단의 발달 단계에 따른 개입 기술, 집단개입 기술, 단계마다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집단 운영 방법 등을 자세히 다루어, 집단 전체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집단 대상의 고유한 실천기술을 익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5부 가족 사회복지실천에서는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체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가족 전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가족 이론과 가족 실천 모델을 익히고 적용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3판에서는 가족의 정의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소개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가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3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제1부 일반주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전문적 기반

제1장 지식기반 사회복지실천기술
1. 일반주의 사회복지실천
2. 사회복지실천 지식과 실천기술
3.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전문적 기반
4. 사회복지사의 핵심 실천역량과 실천기술

제2장 가치기반 사회복지실천기술
1. 윤리적 실천기술
2. 다문화 실천기술


제2부 사회복지실천 모델

제3장 심리사회 모델
1. 등장 배경
2. 이론적 기반
3. 실천 가치와 지침
4. 개입 목표
5. 개입 과정과 기법
6. 사례

제4장 과업중심 모델
1. 등장 배경
2. 실천 원리
3. 주요 개념
4. 개입 과정과 기법
5. 사례

제5장 해결중심 모델
1. 등장 배경
2. 실천 원리와 지침
3. 주요 개념
4. 개입 과정 _ 132
5. 개입 기술
6. 사례

제6장 인지행동 모델
1. 이론적 기반
2. 주요 가정과 인간에 대한 관점
3. 주요 유형
4. 실천 원리와 특성
5. 개입 기법
6. 사례

제7장 위기 개입 모델
1. 위기의 개념
2. 위기의 유형
3. 위기 개입의 특징
4. 위기 개입과 일반 개입의 차이
5. 위기 개입의 단계
6. 사례

제8장 동기강화 모델
1. 개념과 특성
2. 동기상담의 정신
3. 동기상담의 일반 원리
4. 동기상담과 변화 단계
5. 동기상담의 실제


제3부 개인 사회복지실천

제9장 개인 대상 실천기술
1. 통합적 실천기술
2. 단계별 실천기술
3. 원조 기술
4. 변화 단계와 실천기술
5. 어려운 클라이언트와의 실천기술
6. 복합적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와의 실천기술
7. 디지털 실천기술
8. 어려운 클라이언트 사례


제4부 집단 사회복지실천

제10장 집단 대상 실천이론
1. 집단의 개념
2. 집단 이론
3. 집단 대상 실천 모델
4. 집단 실천 원칙

제11장 집단 대상•집단 유형별 실천기술
1. 집단 대상 실천기술
2. 집단 유형별 실천기술
3. 집단 유형별 실천 사례

제12장 집단 발달 단계별 실천기술
1. 준비 단계 실천기술
2. 초기 단계 실천기술
3. 사정 단계 실천기술
4. 개입 단계 실천기술
5. 종결 단계 실천기술
6. 평가 기술


제5부 가족 사회복지실천

제13장 가족의 이해와 실천
1. 가족의 개념
2. 가족 이론
3. 가족 대상 실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4. 가족 대상 실천 과정

제14장 가족 대상 실천 모델과 실천기술
1. 다세대 가족치료
2. 구조적 가족치료
3. 경험적 가족치료
4. 전략적 가족치료
5. 가족 옹호
6. 이야기 치료
7. 사례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 강의자료는 해당 교재로 강의하는 교강사에 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강의자료를 수강생 등 타인에게 공유하거나 배포하는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의하여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