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적 접근의 코칭이 필요한 이유에는 심리학의 오랜역사적 배경을 논하게 된다. 심리학은 인간의 인지·정서·행동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인간의 타고난 속성과 주어진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서 적응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인간에 대한 탄탄한 이론에 근거한 실제적 학문이므로 과학자 – 실무자의 전제에서 코칭을 할 수 있다. 이는 인간에 대한 심리학 이론과 실제가 현대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의 삶을 지금보다 더욱 윤택하고 충만하게 이끌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심리학 근거기반의 코칭이 실무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 코치는 심리학 이론을 잘 이해해야 하고, 관련 지식을 쌓아 실무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코칭 장면에서 전문적인 심리학 근거기반의 코치로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피코치의 인지·정서·행동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야 전문적인 심리학 근거기반의 코칭을 할 수 있다.
이 책의 구성을 간략히 소개하자면, 크게 3개의 부와 3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이론적인 관점’으로 1장에서 13장까지, 제2부는 ‘코칭 맥락과 장면’으로 14장에서 26장으로, 제3부는 ‘코칭 영역에서의 이슈’로 27장에서 33장까지 구성되어 있다. 개별적으로 보면 각 장에서는 코칭 및 코칭심리학에 대한 여러 학자의 소개와 함께 다양한 장면에서 진행되고 있는 코칭의 모습과 최신 경향까지 포함된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이 책에서는 코칭 및 코칭심리학 측면에서 인간이 지금보다 변화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소개하고 있고, 코칭을 통해서 인간 행위가 다각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