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모두 1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크게 두 분야로 나뉘어 있다. 제1부는 처음 10개의 장에 해당하고 사회복지학의 기초 지식을 소개한다. 제2부 ‘사회변화와 사회복지학’은 사회복지학을 최근 주요 사회변화에 적용해 보는 5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부터 제10장까지는 사회복지학의 기초를 다루는 제1부이다. 제1장은 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특성,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를 다룬다. 제2장에서는 사회복지의 동기와 지향하는 가치를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사회복지와 인권과의 관계에 대해 학습한다. 제4장에서는 사회복지체계를 이루는 욕구, 자원, 전달체계의 3대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본다. 제5장은 사회복지의 역사를 크게 서구의 역사와 한국의 역사로 나누어 살펴본다. 제6장에서는 복지국가의 개념과 발달사에 대해 학습한다. 제7장에서는 정부, 시장, NGO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의 공급자에 대해 학습한다. 제8장에서는 사회복지의 기본 지식과 아울러 미시적 개입과 거시적 개입의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제9장에서는 사회복지의 다양한 유형, 대상, 개입 분야에 대해 살펴본다. 제10장에서는 최근 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한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에 대한 전반적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제11장에서부터 제15장까지는 사회변화와 사회복지학의 적용을 다루는 제2부이다. 제11장에서는 불평등과 빈곤의 개념과 현황을 사회복지학의 시각을 통해 알아본다. 제12장은 4차 산업혁명과 사회구조의 변화가 사회복지에 주는 함의를 살펴본다. 제13장에서는 저출산·고령화로 대표되는 인구변동과 사회복지에의 함의에 대해 학습한다. 제14장에서는 양성평등과 사회복지에 대해 알아본다. 제15장에서는 문화 다양성과 사회복지에 대해 학습한다. 각 장의 앞부분에는 그 장에서 학습할 내용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제공하여 독자의 편의를 돕고자 했다. 또 각 장의 마지막에는 그 장의 주요 내용을 요점정리 형식으로 요약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