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교육행정학회의 학문적 위상과 지식 기반 및 집단 연구력을 대변하는 실천적 연구 성과물이다. 2022년 한 해 동안 추진되었던 10회 이상의 연구방법론위원회 월별 모임과 20여 명의 발표자 및 15명의 토론자가 참여한 연차학술대회 기획세션 II 연구 결과물 등은 이 책의 출판을 위한 기본 토대로 작용하였다. 제1부는 ‘교육행정학의 이론화: 과학철학과 연구방법론의 쟁점’을 총괄적으로 다루는 3개 챕터로 구성되었다. 이론발달의 과학철학 쟁점과 연구방법론 논점, 과학적 실재론과 비판적 실재론의 차별적 특징, 가추법과 역행추론 등이 포괄적으로 심층 논의되었다. 제2부는 ‘양적 연구방법 교육 및 활용 실태와 발전 방향’에 관한 6개 챕터로 이루어져 있다. 양적 연구방법론 교육 현황과 문제점, 교육연구 질, 교육정책효과, 다층모형, 구조방정식, 준실험 설계 등에 관한 비판적 성찰과 향후 발전 방향이 종합적으로 제시되었다. 제3부는 ‘질적 연구방법 및 혼합연구방법 활용 실태와 발전 방향’을 심층 진단·분석하는 6개 챕터로 구성되었다. 질적 연구 동향과 문제점, 근거이론, 실행연구, 담론분석, 질적 연구자 성찰, 혼합방법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등에 관한 심층 분석과 종합적 논의가 체계적으로 제시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