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판에서 수정·보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6판에서 누락했던 유럽 중세시기 르네상스 개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십자군원정과 관련된 이슬람 세력과의 접촉·교류 과정에서 그리스·로마의 정신세계를 재인식하게 되었다는 내용을 수록했다. 부록에서는 공장제 기계공업과 대량생산의 보편화를 가져온 1차 산업혁명, 석유와 전기 사용으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2차 산업혁명, 20세기 후반 컴퓨터를 활용한 정보시스템으로 전 세계를 하나로 연결시킨 3차 산업혁명, 21세기의 원유라고 하는 IT(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캄테크(사물인터넷 IoT), 인공지능(AI) 등으로 사람, 사물, 공간 모든 것이 초연결되는 4차 산업혁명 사회에 대해 언급하였다. 2장 부록에서는 컴퓨터 소프트웨어(PC의 윈도우) 버전처럼 계속 업그레이드가 되고 있는 자본주의의 변천에 대해 설명하였다. 3장 부록에서는 최근의 사회학자들 중 많이 거론되고 있는 찰스 라이트 밀스, 니클라스 루만, 지그문트 바우만, 마누엘 카스텔스, 장 보드리야르의 사회학적 연구업적과 그들의 학문적 연구대상, 지적활동에 대해 요약하여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방법론과 관련하여 이론으로부터 연역적으로 구성된 가설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상세히 기술하였다. 즉, 실질가설인 이론적 가설과 측정에 관한 가설인 작업가설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5장 부록에서는 3장에 이어서 최근의 사회학자들 중 많이 거론되고 있는 소스타인 베블렌, 대니얼 벨, 엘리 러셀 혹실드의 연구분야와 그들의 주요 논점 및 사상을 다루었다. 7장에서는 문화의 구성요소 증 규범적 문화(민습, 원규)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알기 쉽게 수정·보완하였으며, 문화의 종류에서는 자주 혼동을 가져오는 특수문화와 하위문화(부분문화)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였다. 부록에서는 구조주의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8장에서는 프랑스 인류학자 반 겐넵의 통과의례에 대한 내용을 추가 수록했으며, 부록에서는 사회문제의 약 70~80%가 가족문제에서 비롯되는 것을 고려하여 요즘 무너지는 가족, 아버지 없는 가정과 관련된 글을 실었다. 10장에서는 저출산·고령화와 관련된 자료와 통계치를 수정·보완하였으며, 부록에서는 인구와 경제발전과 관련된 내용으로, 맬더스가 언급한 인구증가문제, 그의 예측과 억제방법이 틀렸음에 대한 비판내용, 농약과 비료, 새로운 품종 개발로 식량생산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킨 과학기술의 진보, 즉 인류의 지적능력 때문에 해결되었음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다루었다. 11장 부록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슈퍼스타도시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슈퍼스타도시는 지식자본주의사회의 핵심인 경쟁력을 두루 갖추고 있는 미래도시를 가리키는데, 세계화, 기술혁신이 주가 되는 사회로 변화하면서 혁신산업과 기술, IT, 바이오산업이 성장함과 더불어 훌륭한 인적자원(본)이 슈퍼스타도시에 풍부하게 집중된다는 설명을 언급하였다. 14장 부록 I에서는 중남미(Latin America) 사회의 특이한 계층과 계급구조에 대해 다룸과 동시에 아프리카 소국 모리셔스의 특이한 계층구조를 도표로 제시하였다. 또한 부록 II에서는 경제민주화에 대해서 다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