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1장에서는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과 교수-학습방법을 다루었고, 제2장에서는 각 이론서에서 제시하는 음악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 예시와 함께 구체적으로 소개했습니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국가수준 유아음악교육과정과 더불어 주요 OECD 국가의 유아음악교육과정을 소개했으며, 제4장에서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갖추어야 할 음악환경과 그중 하나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교사의 역 할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제5장에서는 유아음악교육 평가의 의미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제6장에서는 유아음악교육의 통합적 운영 사례와 음악활동 지도방법을 다루었습니다. 제7장부터 제10장까지는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인 음악감상,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신체표현을 제시했습니다. 부록에서는 음악 놀이와 활동 에 활용 가능한 그림책과 영화,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하고, 여러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가사판 만들기 방법과 유아관찰기록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관찰기록 작성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이 책의 모든 장에서는 글이 설명하고 있는 실제 사례들을 함께 제시해 독자들의 이해와 창의적 음악 아이디어 창출에 도움을 주고자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