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개정은『 사회복지조사론 및 통계(3판)』의 개정과 함께 진행했다. 사회복지 사들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과정 지침에서는 통계가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사회복 지조사론 및 통계 (3판)』에서부터 통계를 제외한 내용을 따로 묶어 『사회복지조사론 (2판)』으로 내는 것이다. 나는 사회복지조사론을 실천/연구에서 활용하려면 최소한의 통계 분석에 대한 이해가 결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전체 사회복지 교육 과정의 구조에서 합의된 바가 있으므로, 그를 따르는 것도 필요했다. 2판의 내용 편제는 1판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사회복지조사론에서 독자적으로 다 룰 필요가 없는 부분, 예를 들어 평가 조사나 욕구 조사와 같이 사회복지행정이나 프로 그램 개발과 평가 등의 여타 교과목에서 다룰 수 있는 부분들은 이번 개정판에서 뺐다. 그 외 부분들은 조사연구의 기본적인 방법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일부 내용을 가감 하거나 수정하는 것 말고는 1판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다. 기본적으로는 양적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대조 설명하는 부 분들이 곳곳에 들어가는 변화는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