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가 학습자들에게 요구하는 딥러닝과 딥협업 역량을 키우는 데 가장 적합한 최적의 방법이다. 특히, 학 습자들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줄 아는 진정한 의미의 딥러닝 역량을 갖추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렇다면 학생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 설계와 수업 실행은 어떻게 가능할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 설계와 실행 방안’을 연구하여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딥러닝과 딥협업을 경험하면서 정보처리 역량,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메타인지 능력 또한 함께 길러진다는 사실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정리하여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에 관심을 가진 분들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 책의 구성] 제1부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이해’에서는 블렌디드 러닝의 의미와 블렌디드 러닝 기반 수업 구성 요소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2부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에서는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을 설계-실행-성찰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설계 단계에서 교육과정 재구성, PBL 문제 개발, 교수·학습과정안, 평가계획, 수업환경 구성 방안을 정리했다. 실행 단계에서는 문제 제시 및 문제 확인, 문제 탐구, 문제 해결안 작성, 발표 및 평가 방안을 제안했다. 성찰 단계에서는 학생 및 교사의 반성적 성찰 방안을 살펴보았다. 제3부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 실천’에서는 고등학교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미술 교과에서 진행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 설계-실행-성찰 과정을 정리했다. 수업 설계는 교육과정 재구성, PBL 문제 개발, 교수·학습과정안 설계, 수업환경 구성 과정을 정리했다. 수업 실행은 학생들이 활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분석하여 해결안을 도출하여 발표 및 평가를 진행한 과정을 상세하게 정리했다. 수업 성찰은 학생들의 강화된 역량을 살펴보았다. 제4부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 실현 에듀테크’에서는 에듀테크를 기능별로 분류하고, 필자들이 실제로 수업에서 활용한 에듀테크 특징과 활용 내용을 정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