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학생들이 사회복지 현장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인간행동 이해에 대한 현장성과 현실성을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각 장 마지막 부분에 ‘요약’과 ‘생각해 볼 문제’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이해한 내용을 스스로 점검해 볼 수 있도록 했고, 지면 관계상 다루지 못한 부분들을 한 번쯤 훑어볼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놓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심화학습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책은 학부에서 한 학기에 소화할 수 있는 분량이 되도록 모두 4부 14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총론’으로 오창순 교수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인간을 이해하는 관점을 과거에서 현재까지 간략히 소개하고, 이 책에서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이론들을 요약하여 전체적인 윤곽을 잡고 각론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한 학기에 많은 이론가를 접하면서 그 이론을 모두 소화하기 어려울 수 있기에 이들의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한 배려이다. 제2부는 인간의 행동을 다각적으로 설명하기에 유용한 ‘성격이론’으로 구성하였다. 방대한 성격이론 중에서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고려하여 심층심리이론을 비롯한 다섯 가지 이론을 선택하고, 각 이론의 대표적인 이론가들을 두 명씩 선택하여 모두 열 가지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그중 오창순 교수가 심층심리이론에 해당하는 정신분석이론(제3장)과 분석심리이론(제4장)을 다루었고, 장수미 교수가 자이심리이론(제5장), 인지이론(제6장), 행동주의이론(제7장), 인본주의이론(제8장)을 소개하였다. 제3부는 ‘인간발달’은 태내기에서 성인기까지 각 발달단계에 따르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각 단계마다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할 점을 연결하여 제시하였다. 그중 오창순 교수가 태내기와 신생아기(제9장)를, 김수정 교수가 영·유아기(제10장)와 아동·청소년기(제11장)를, 장수미 교수가 성인기(제12장)를 성인 초기(청년기), 성인 중기(중년기), 성인 후기(노년기)로 나누어 집필하였다. 제4부는 ‘인간과 환경’이라는 제목으로 김수정 교수가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 개인과 환경에 대한 총합적 접근에 유용한 생태체계 관점(제13장)과 사회환경체계(제14장)를 다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