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간략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아들러 심리학의 기본 개념, 전제, 이론 그리고 적용하는 법을 논의한다. 제2장에서는 아들러 심리치료의 전략과 기법을 설명한다. 여기에는 생활양식 사정, 가족 구도, 초기기억, 생활양식 신념 그리고 몇 가지 아들러식 중재와 기법이 포함되며, 아들러 심리치료가 지닌 다문화 민감성도 언급한다. 제3장에서는 전통적인 아들러 심리치료의 확장으로서 아들러 패턴중심치료를 소개한다. 여기서는 생활양식 전략과 패턴을 강조하는 아들러 패턴중심치료의 치료 개입과정을 설명하며, 아들러 패턴중심치료 실제의 윤리와 증거 기반 실행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이후 장에서 자세하게 다룰 제니퍼의 사례와 10회기 치료과정을 소개한다. 제4장에서는 모든 회기 중에서 가장 중요한 첫 회기에 초점을 둔다. 특히 내담자가 치료에 전념하고 임상적으로 성공하려면 반드시 달성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둔다. 첫 회기와 이어지는 회기의 축어록 및 해설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동석’하도록 초대한다. 제5장에서는 2회기에 초점을 두며, 축어록 및 해설에서 아들러 패턴중심치료의 핵심 치료 전략을 설명한다. 제6장에서는 3회기에 초점을 두며, 특정한 아들러식 기법과 다른 기법을 포함한 아들러 패턴중심치료의 실제를 축어록 및 해설을 통해 설명한다. 제7장에서는 4회기에 초점을 두며, 축어록 및 해설을 통해 회기 내와 회기 간(과제)의 치료과정을 모두 설명한다. 제8장에서는 치료의 중간 단계인 5회기부터 8회기까지 내담자의 실질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 이는 각 회기에서 발췌된 축어록과 해설에서 설명된다. 제9장에서는 9회기와 10회기의 종결과정에 초점을 둔다. 아들러 심리치료에서 늘 그렇듯이 마지막 회기에서 두 번째 초기기억을 끄집어낸다. 그리고 축어록과 해설에서 그동안의 치료 진행과정을 검토하고 추후 상담 가능성을 설명한다. 제10장에서는 성공적인 치료의 기준과 지표를 분석적으로 검토한다.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의 초기기억 변화를 해석하는데, 초기기억의 변화가 제니퍼의 부적응적 패턴에서 더욱 적응적인 패턴으로의 전환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으며, ‘확증’하는지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아들러 심리치료의 미래를 논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