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출판된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2판)도 여전히 같은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다만, 여러 가지 면에서 대폭 수정·보완되었다. 첫째, 가장 크게 보완된 부분은 프로그램의 개념 속에 증거기반 실무(EBP)의 관점을 도입했다는 점이다. 서구에서 상담 및 심리치료 영역의 심리치료 또는 프로그램 형태의 개입 방법을 개발할 때 오래전부터 채택해 온 증거기반개입은 국내에서 여러 형태의 개입 절차를 개발하고 표준화할 때 간과할 수 없는 관점이다.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2판)은 이와 관련된 내용이 대폭 추가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과정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사례를 대폭 추가했다. 이 사례들은 국내외에서 출판된 학위논문, 학술지 게재 논문, 연구보고서에 수록된 것들로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잘 보여 준다고 평가되는 것으로 선정했다. 사례는 두 가지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한 가지 방식은 각 장에서 해당 주제를 논의하면서 사례의 일부를 발췌, 편집하여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장에서 다루는 주제에 대한 독자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했다. 다른 방식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전체 과정을 보여 주는 방식이다. 저자들은 국내 상담 및 심리 교육 영역 중에서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심리교육(제11장)이나 집단상담(제12장) 영역, 그리고 앞으로 눈여겨보아야 할 증거기반 심리상담(제13장) 영역에서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하나씩 선정하여 제시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기획, 설계, 실행과 평가 등 전 과정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셋째, 이번 개정판은 소폭 개정이 아닌 대폭 개정으로 부와 장의 구성과 구체적 내용이 다음과 같이 많이 수정·보완되었다. • 1판의 제2장의 내용은 좀 더 간결하게 축소되어 2판의 제1장으로 통합되었다. • 1판의 제3장(프로그램 기획의 기초)과 제4장(요구분석)은 장 이름과 내용 구성이 대폭 수정·보완되었다. • 1판의 제2부(프로그램 기획)에 속했던 제5장(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확립)은 내 용을 보완하여 제3부(프로그램 설계)의 제4장으로 이동했다. • 1판의 제3부(프로그램의 구성)는 명칭을 ‘프로그램 설계’로 변경하고, 제4장(프로그램의 이론적 모형 개발), 제5장(프로그램 내용 개발), 제6장(프로그램 내용의 선정과 조직)으로 구성하면서 내용도 대폭 수정·보완했다. • 1판의 제8장(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준비), 제9장(프로그램 실행과 모니터링)은 내 용과 사례를 보완하여 2판의 제7장과 제8장으로 이동했다. • 1판의 제3부(프로그램의 평가)는 원래 제10장(프로그램 평가의 기초), 제11장(객관 적 효과평가), 제12장(주관적 효과평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판에서는 제9장 (프로그램 평가 절차), 제10장(프로그램 효과평가)으로 장의 개수는 줄여 단순화 했지만, 내용은 대폭 수정·보완되었다. • 2판의 제6부(영역별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에 속한 제11장(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제12장(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제13장(증거기반 심리상담 프로토콜 개발의 실제)은 완전히 새로운 내용이다. 독자들은 이 사례를 통해 상담 및 심리교육 영역에서 대표적인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처음에서부터 마무리까지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