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총 1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가족치료의 이해’로, 가족치료의 발달과정과 배경 그리고 국내 가족치료의 발전과정을 다루었다. 제2장은 ‘가족사정과 평가’로, 사정을 위한 가족의 구조와 기능, 초기 상담과정과 문제 탐색, 사정도구, 사정평가척도를 다루었다. 제3장은 ‘구조적 가족치료’로, 미누친(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이론과 주요 개념, 치료기법을 다루며, 실습으로 사례연구를 소개하여 구조적 가족치료의 목표와 개입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제4장은 ‘경험적 가족치료’로, 사티어(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이론과 주요 개념, 치료기법, 치료과정을 다루며, 가족조각이나 원가족 도표를 활용한 치료방법을 다루었다. 제5장은 ‘다세대 역동 가족치료’로, 보웬(Bowen)의 다세대 역동 가족치료이론, 자아분화 개념과 주요 개념, 치료과정과 치료기법을 다루었다. 제6장은 ‘밀라노 가족치료’로, 셀비니 팔라촐리(Selvini Palazzoli)와 동료들에 의한 밀라노 가족치료이론의 주요 개념, 치료과정과 치료기법을 다루었다. 제7장은 ‘해결중심 가족치료’로, 구성주의이론인 드 세이저와 김인수(S. De Shazer & Insoo Kim Berg)의 해결중심 가족치료이론의 기본 철학과 주요 개념, 해결을 위한 다양한 질문법과 칭찬, 메시지 작성을 다루었다. 제8장은 ‘부부상담의 이론과 기법’으로, 핸드릭스(Hendrix)의 이마고 부부관계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치료기법, 발달과정의 상처와 힘겨루기 패턴, 이마고 대화법, 가트만(Gottman)의 부부상담이론과 치료과정 그리고 심상부부치료를 다루었다. 제9장은 ‘가족미술치료’로, 실제로 상담에서 가족에게 적용할 수 있는 미술활동, 언어적 가족합동화, 자유화, 추상적 가족화, 동적 가족화, HTP 그림검사, DAS 그림검사와 미술치료 사례 소개 및 가족과의 활동을 다루었다. 제10장은 ‘애착이론과 부모교육’으로, 볼비(Bowlby)의 애착이론 개념과 고든(Gordon)의 부모교육인 P.E.T. 그리고 가트만(Gottman)의 자녀와의 감정코치 대화기술을 다루었다. 제11장은 ‘가족모형 세우기’로, 저자가 개발한 나무로 만든 사람 모형의 상담도구를 상담현장에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다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