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분야는 교육 정책이나 제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정책 변화나 흐름에 민감하게 맞추어 수정해야 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이번 개정판 역시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몇 가지 측면에서 내용을 수정, 보강하였다. 첫째, 최근 교육과정 개정에 맞게 시의성에 부합하도록 국가 교육과정 부분을 삭제, 보강하였다. 특히 부록에 제시되어 있었던 과거 교육과정 총론 문서를 삭제하고 최근 총론 문서로 대체하였다. 이에 따라 본문의 내용도 변경하였다. 둘째,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와 유형 부분에서 최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정, 보강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추가, 창의적 체험활동의 보강, 특별활동의 삭제를 통하여 최근의 국가 교육과정 변화를 포함하였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에서 기존의 방법 외에도 최근 2015 개정이나 2022 개정에서의 숙의 절차나 공론화 방식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였다. 기존과는 다르게 최근에 국가 교육과정은 전문가 중심에서 소위 다수 이해당사자들을 직접 참여시키는 형태를 취하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은 편이다. 특정 이념에 경도된 거버넌스의 채택보다 중요한 것은 진정한 교과교육이 가능하도록 국가 교육과정 기준-학교 교육과정 실천 기준-대학입학 기준이 일관되게 연계되어 교육과정이 안정적으로 구현되게 하는 것이다. 넷째,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부분을 수정하였다. 교육과정의 최종 도착지는 학교단위에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는 것이므로 이 부분을 보다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늘 국가 교육과정, 지역 교육과정과의 연관 속에서 학교 교육과정이 보다 풍부하게 편성,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이 강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 부분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 모형과 OECE 학습 나침반 내용을 추가하여 관련 내용을 보강하였다. 이 부분은 최근에 강조되는 구성주의 교육과정과 역량 교육에 대한 최신 내용을 보강하는 차원이다. 여섯째, 한국교육과정의 발전 과제에서는 창의성과 고급 사고력 개방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였다. 이 부분은 최근 역량기반 교육과정이나 창의 융합형 교육과정 설계 부분과 관련이 있는 부분으로 교사들의 교육과정 설계 전문성을 드높이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