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는 ‘생활지도의 이해’에 관한 것으로, 생활지도의 기초(1장)와 학생 이해를 위한 상담이론(2장)으로 나뉘어 있다. 1장에는 생활지도의 정의·발달사·목표·주체에 관한 내용이, 2장에는 교사 또는 예비교사들이 학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정신분석, 행동치료/인지행동치료, 인간중심치료, 해결중심단기치료가 소개되어 있다. 2부는 ‘생활지도의 영역’에 관한 것으로, 학생면담(3장), 학급회의(4장), 학업문제와 지도(5장), 진로지도(6장), 심리검사의 이해와 활용(7장)이 포함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3장은 학생면담의 원리·과정·기술·전략, 4장은 학급회의의 기능·이점·운영지침·진행지침, 5장은 학업문제의 이해, 학업에의 영향 요인, 학업지도, 학업중단, 6장은 진로지도의 기초 개념·목표를 비롯하여 진로지도 이론(파슨스의 특성요인이론, 홀랜드의 진로선택이론, 수퍼의 생애진로발달이론), 학교급별 진로지도, 진로지도 방법, 그리고 7장에는 심리검사의 이해를 비롯하여 지능·적성·성취·흥미·성격검사가 수록되어 있다. 3부는 ‘생활지도의 쟁점’에 관한 내용으로, 위기학생(8장), 학교폭력(9장), 자살·자해(10장), 특수아(11장), 다문화가정 학생(12장), 그리고 학부모 면담(13장)을 돕는 내용이 실려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8장은 위기의 정의·유형, 위기반응 단계, 위기개입의 목표·단계, 9장은 학교폭력의 정의·특징·주체·원인·감지와 조치, 예방 및 대처, 학교폭력 사건의 처리 절차, 학교폭력 가해·피해 학생 지도, 그리고 10장에는 청소년 자살의 특징, 자살의 영향 요인, 자살행동의 사정, 자살예방 방안, 자살의 개입 전략이 수록되어 있다. 11장은 특수아의 정의, 특수아 지도 방안, 지적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스펙트럼장애(ASD), 12장은 다문화사회의 이해,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 그리고 13장에는 학부모 면담의 정의·절차·전략, 교사를 힘들게 하는 학부모의 태도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추가로, 각 장의 끝부분에는 ‘복습문제’와 ‘소집단 활동’을 첨부했다. 복습문제는 문제를 직접 풀어 봄으로써, 각 장의 내용에 대한 독자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생각의 결과였으며, 소집단 활동을 통해서는 각 장의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와 통찰을 돕고자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