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변화와 향후의 기대를 담아내기 위해 가장 최신의 실태조사 자료와 관련 통계 및 자료를 기반으로 수정을 거치고, 관심을 받는 이슈와 과제를 반영하여 이 책의 제5판을 내놓게 되었다. 전체 내용을 3부로 구분한 기존의 분류는 유지하되, 세부적으로 많은 수정을 거쳤다. 제1부는 제1장 장애개념과 장애범주(이영미), 제2장 장애에 대한 이해(이영미), 제3장 장애인복지의 역사(이영미), 제4장 장애에 관한 이론적 접근(임종호)으로 구성하였다. 제3장에서는 서구와 한국의 장애인복지 역사뿐 아니라, 국제장애운동과 한국의 장애운동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제2부는 제5장 생애주기적 접근과 장애(이영미), 제6장 장애 유형별 특성 및 등록(임종호), 제7장 장애인복지 정책과 관련법(임종호), 제8장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임종호), 제9장 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한 이해(이은미)로 구성하였다. 특히 제7장에서는 장애인 소득보장, 고용보장, 교육보장 정책에 대해 최신의 통계를 활용하여 내용을 보완하였다. 제3부는 제10장 장애인복지 핵심 이슈에 대한 이해 1(이은미)에서, 장애와 고령화, 장애와 가족, 장애와 여성에 대해 다루었고, 제11장 장애인복지 핵심 이슈에 대한 이해 2(이은미)에서는 장애인 접근권, 장애와 보조기술, 장애인과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해 다루었다. 제12장 세계의 장애인복지(이은미)에서는 세계의 장애인복지 현황을 최신의 통계와 실태를 최대한 반영하였다. 제13장 장애인복지의 실천 과제(임종호)의 내용도 가장 최근의 현황을 중심으로 새롭게 수정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