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에서는 지식교육 변화의 서막을, 제2부에서는 새로운 지식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제3부에서는 내러티브 기반 지식교육의 구체적 양상을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지식교육을 가르치고 배우는 문제와 지식을 조직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제4부에서는 지식교육의 미래 과제와 방향을 논의하였다.
제1장 지식교육의 위기: 문제의식
1. 시작하며: 왜, 무엇을
2. 지식교육 위기론
3. 지식교육에 대한 담론 형성 구조
4. 주요 주제 및 접근 방법
제2부 지식교육의 동향과 새 전환
제2장 지식교육의 세계사적 동향
1. 공간적 접근
2. 이념적 접근
3. 역사적 접근
제3장 내러티브 전환
1. 내러티브의 다양한 접근
2. 내러티브 전환의 시대적 배경
3. 내러티브 전환의 역사적 거장들
4.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
5. 지식교육의 함의
제3부 지식교육의 이론적 문제: 지식관과 지식교육의 제 문제
제4장 지식관의 혁명
1. 실증주의 대(對) 구성주의 논쟁
2. 발견 대(對) 발명 논쟁
3. 정초주의 대(對) 포스트모던
4. 패러다임적 접근 대(對) 내러티브 접근
5. 내러티브적 지식관과 그 양상
제5장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일
1. 전달(도관) 모형
2. 중간 언어 접근
3. 탐구학습과 그 내러티브 전환
4. 발견학습과 그 내러티브 전환
5. 내러티브 기반의 교수와 학습
제6장 지식을 조직하는 일
1. 순차적 접근: 계열성과 순차성
2. 인지 유연성과 래티스 모델
3. 나선형 교육과정의 재해석
4. 스토리텔링과 시나리오 모델
5. 내러티브 기반 교육과정 단원
제4부 지식교육의 토대와 미래
제7장 지식교육의 대전환과 문화적 토대
1. 마음의 이론과 간주관성의 토대
2. 민속심리(학)와 상생성
3. Bruner의 교육의 문화
4. 상호학습 공동체와 학교교육
5. 인간과학의 혁명과 내러티브 과학: Bruner 저작물을 중심으로
6. 지식, 마음, 그리고 문화의 트라이앵글
제8장 내러티브 기반 지식교육의 미래와 과제
1. 지식교육 대전환의 역사적 의미
2. 지식교육의 미래
3. 지식교육의 과제
4. 이론적·실천적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