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연구자가 연구의 기본논리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연구를 설계하고 실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방법을 선택하고 최종적인 연구보고서나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크게 1, 2, 3부로 나뉘어, 전체 1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교육 & 사회과학 연구의 기본 논리’라는 제목으로 7개 장에 걸쳐 연구자가 연구를 수행할 때 필요한 일반적인 요소들을 소개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유형 등 연구의 논리, 연구주제와 연구문제 및 가설을 설정하고 진술하는 방법, 문헌을 고찰하는 절차, 연구대상의 선정과 자료수집 방법, 자료의 통계적 분석방법, 연구계획서와 보고서의 기본양식, 그리고 학술지 논문의 체제와 작성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구의 시작을 위한 계획서 작성방법과 연구 완료 후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상호비교하여 소개한다. 제2부에서는 현상연구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는 양적 연구방법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기초로 기술연구, 실험연구, 내용분석, 델파이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기술연구에서는 어떠한 현상이나 변인에 대하여 탐색하여 설명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하였고, 실험연구에서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실험설계의 절차와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연구자의 역량을 강화하도록 안내하였다. 그리고 개발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델파이 방법에서는 익명성을 보장한 반복 조사를 통해 전문가 집단의 견해를 중압감 없이 합의적 방법으로 도출해 내는 과정을 안내한다. 제3부에는 사회현상에 대한 참여적인 설명과 분석을 제공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자가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균형 있는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여기서는 사례연구, 근거이론, Q 방법론, 현상학적 방법, 문화기술지연구를 소개한다. 문화기술지에서는 연구자가 어떤 집단이나 사람들의 행동 패턴에 대한 의미를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이해하도록 안내하였고, 특히 내용분석, Q 방법론, 근거이론, 현상학적 방법에서는 각 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문제의 예시, 연구수행 시 유의할 점, 연구의 질에 대한 평가준거를 제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