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산업화 단계를 거쳐 오늘날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근대의 정형적 가족모델인 핵가족은 더 이상 그 보편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화되고 있다. 그 결과 기존의 가족복지 또한 전면적인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우리나라가 경험한 가족변화는 1인 가구의 확산, 비혼과 만혼 경향, 세계 1위의 초저출산율, 높은 이혼율 등 그 어느 사회보다도 극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족변화는 가족복지의 광범위한 질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가족복지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책이 새로운 가족복지의 모색에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은 크게 5부, 총 12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이 책의 거시적 맥락으로서 가족과 가족복지에 대한 이해를 기술하였다. 제1장은 가족에 대한 이해로서 가족에 대한 정의, 사회변동에 따른 가족변화, 우리나라의 가족변화 양상을 다루었고, 제2장에서는 가족복지의 대두배경과 정의, 대상과 개입영역, 유형과 개입방법을 소개하였다. 제2부는 가족복지 정책, 법률 및 서비스에 대해 기술하였다. 가족복지정책을 다룬 제3장에서는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대상, 지원유형, 특징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가족복지정책을 소개하였으며, 제4장은 가족복지 관련 법률과 지원서비스 등을 소개하였다. 제3부는 가족복지실천 과정을 기술하여, 제5장 인테이크와 사정, 제6장 개입과 종결로 4단계의 실천과정을 기술하였다. 제4부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는 가족치료에 대한 소개와 가족치료이론을 다루었다. 제7장에서는 가족치료의 개념 및 이론, 발달배경과 함께 우리나라의 가족치료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8장에서는 구체적 가족치료모델로서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사티어의 가족치료 모델, 구조적 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 제5부는 복지적 개입이 필요한 가족을 대상별로 나누어 각각의 정의, 현황 및 욕구, 복지현황과 대책 등을 살펴보았다. 제5부는 제9장 폭력·학대 가족, 제10장 재혼가족, 제11장 정신장애인가족, 제12장 다문화가족으로 구성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