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철학학회는 2020년 7월 11일 광주교육대학교에서 ‘교과서·교사·교육철학’이라는 주제로 광주광역시교육청 공동주관 온라인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이 책은 학술대회를 통해 교과서와 교사 전문성의 관련에 대하여 실천적·학술적·정책적 논의 주제들을 함께 천착해 보았던 공동작업의 결실이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머리말
제1장 교과서, 철학과 방법에 관한 기본적 논의
1. 교과서에 관한 기본 물음: 개념 정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한계, 한계 극복을 위한 요청
2. 교과서를 위한 철학과 방법
3. 교과서와 현장 사이의 긴장 관계를 조율하기 혹은 양자 간의 거리를 비판적으로 극복하기 4. 교사가 만들어 내는 수업 사례- 김교신의 수업방식을 통해서 보기
제2장 존 듀이 교육론으로 보는 교사의 교과서 만들기
1. 들어가며
2. 듀이의 교과관
3. 학교교육에서의 교과
4. 교사의 교과서 만들기
5. 마치며
제3장 발도르프 교육론에 근거한 교과서 중심 교육관의 탐색
1. 들어가며
2. 세 초등교사의 교과서 이야기
3. 교과서 중심 교육관의 대안 탐색
4. 마치며
제4장 음악교과 사례로 본 교과서와 교사의 판단
1. 문제제기: 교과서를 ‘전달’한다는 것
2. 교과서 분석과 문제의식
3. 교과서의 정보: 음악 감상에서 미학이론의 위치
4. 교사의 판단: 음악 감상 수업에서 판단의 역할
5. 마치며
제5장 해외 수학 교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선택과목 구성 탐구
1. 들어가며
2. 외국의 고등학교 수학 과목 구성 체계
3. 해외 주요 국가의 수학 선택과목 구성의 특징
4. 수학 선택과목 구성을 위한 논리 탐색 방안
5. 마치며
제6장 근대 교과서 삽화로 살펴보는 실물교육
1. ‘보면 안다?’ 실물교육의 시작
2. 1910∼1920년대 교과서 삽화와 실물주의
3. 1930∼1940년대 교과서 삽화와 시각적 연출: 보이는 것이 관념을 만든다
4.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