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 사회교육학의 새로운 정립을 위한 노력의 시작이자 그 자그마한 결과이다. 이 책에서는 사회교육학 정립을 위해 사회교육의 개념과 역사, 사회교육학 연구의 선구자, 사회교육학 성립의 이론적 기초,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구성요소, 연구과제, 사회교육 실천 원리와 방법, 사회교육 실천영역의 현황과 과제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부에서는 사회교육학의 개념적 기초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교육의 개념, 한국 사회교육 개념의 재고찰, 사회문제와 사회교육의 개념적 관계를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사회교육학의 토대와 성격을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교육학의 형성과정과 동향, 사회교육학의 이론적 기초, 사회교육학의 성격과 구성을 살펴본다. 제3부에서는 사회교육학의 원론적 탐구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의 통합, 사회학습과 교육적 개입의 조화, 의식화와 조직화의 조화를 살펴본다. 제4부에서는 사회교육학의 실천적 탐구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교육 내용과 내용과 방법의 구성, 사회교육자의 역할과 요건, 사회교육 유형별 현황과 학문적 과제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사회교육과 사회복지, 사회운동, 지역사회 개발, 청소년교육 등과의 관련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사회교육적 대안을 모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