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사회환경과 새로운 세대의 진입과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 실천의 윤리표준도 변화하여야 함을 전제로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자 하였다. 최근의 사회복지 실천에서는 도덕적 의무나 공리주의적 가치 외에도 사회복지사의 도덕적 품성이나 정서적 반응, 그리고 관련 체계들 사이의 상호 소통과 협력 역시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에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윤리적 요소를 윤리이론과 실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 책의 제1부(김기덕 집필)에서는 사회복지 철학과 윤리학의 필요성과 이해를 위한 기초를 다지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 윤리학과 사회복지 철학의 체계와 내용을 차례로 학습할 것이다. 제2부(홍백의 집필)는 분배적 정의에 관한 내용으로, 제4장에서는 공리주의와 자유지상주의를 살펴보고, 제5장에서는 평등적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제3부(황보람 집필)에서는 사회복지 전문직이 각종 정책과 서비스,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 실행에서 윤리적·철학적 토대로 두어야 할 윤리강령, 윤리적 관점과 책임,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하여 다룬다. 제6장은 윤리강령의 발전 과정과 기능 및 한계를 다룬다. 제7장은 사회복지 전문직이 가져야 할 보다 구체적인 윤리적 관점과 책임을 다룬다. 제8장은 사회복지 전문직이 당면한 윤리적 딜레마의 내용과 이에 대응하는 윤리적 의사결정을 다룬다. 제4부(유채영, 오정수 집필)는 직접적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간접적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사례를 윤리원칙과 표준에 적용한 내용으로서, 제9장은 자기결정, 사생활보호와 비밀보장권 등 클라이언트의 권리 및 복지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 제10장은 전문적 역할과 경계, 그리고 관계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 제11장은 인권, 자원의 배분, 정부와 민간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 그리고 제12장은 법률과 규칙의 준수, 조직의 내부갈등, 조사와 연구, 정보통신기술(IT)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