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질적 연구 자료를 어떻게 체계적으로 분석할 것이며, 분석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상세히 다루었다. 또한, 질적 자료의 체계적 분석 결과를 양적 분석과 연계하는 방법도 소개했다. 예를 들어, 참여관찰과 심층면담3) 결과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하면 질적 자료의 깊이를 잃지 않은 채 더 폭넓은 분석을 하면서도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참여관찰/관찰 결과로부터 사람들의 시간 사용을 계산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시간구조분석(time structure analysis)’ 결과를 ‘활동별 사용 시간’이라는 수치로 제시하는 방법도 소개했다. 다양한 분석방법의 설명에 중점을 둔 제I부 ‘현장연구 질적 자료의 관리와 체계적 분석방법’에서는 독자의 이해가 쉽도록, 모든 분석방법을 실제 연구사례를 활용해서 설명하거나 설명을 한 다음에 다양한 연구사례를 제시했다. 이러한 연구사례 중 일부는 사용 가능한 분석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대신에 일부 방법만 사용했다. 즉,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간략화된 것들이다. 각 장의 마지막에는 〈안내된 실습〉을 제시했다. 이는 분석방법을 배운 직후 실습까지 해 보아야 학습한 분석방법이 기억에 오래 남기 때문이다. 〈안내된 실습〉에는 실습과정이 단계별로 제시되어 있지만, 막상 실습과정에서 앞에서 배운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아 당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습 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본문의 분석방법 적용사례 중 일부는 분석의 과정까지 상세히 제시했다. 제II부에서는 제 I 부에서 다룬 분석방법들이 실제 연구에 활용된 사례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한두 가지 분석방법을 연구의 단계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는 사례, 인식과 실제의 비교연구에 활용하는 사례, 두 가지 이상의 분석방법을 연계해서 활용하는 사례 등을 다루었다. 또한, 질적 분석만이 아니라 양적 분석도 함께할 수 있도록 수십 명과의 면담을 통합적으로 분석해 설문조사 문항 개발로 연결하는 사례들을 제시했으며, 연구결과의 상당 부분을 도형 하나로 정리하는 사례들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문제해결이나 상황 개선을 직접 해 나가는 실천적 연구(실행연구)에 이 분석방법들을 활용하는 사례도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