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에서는 언어 발달이 이루어지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펴보고, 영아가 언어를 쉽게 학습하도록 돕는 사회인지적 능력을 파악한다. 2장에서는 영아가 초기에 모국어의 소리 부호를 해독하는 능력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영아는 아직 구어 사용 능력이 초보적 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제스처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구어 발달의 기초가 되는 공동 주의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살펴본다. 4장에서는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활동의 맥락에서 단어의 의미가 어떻게 조정되는지 살펴보고, 5장에서는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단어를 조합하고 변형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드는 무수히 많은 방법을 영아가 어떻게 알게 되는지 설명한다. 6장에서는 아동 언어 입력의 본질과 언어 입력의 양 및 질의 변화가 언어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7장에서는 화용론과 대화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8장에서는 언어의 다양성 현상으로 돌아가서 언어와 이중 언어의 특정 기능이 인지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9장에서는 문 해 습득과 언어 발달에서 문해의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10장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11장에서는 구어의 소리 패턴을 인식할 수 없는 청각장애 아동의 수어 발달에 대해 살펴본다. 유아기 이후에 언어 학습을 조절할 정도로 인간의 뇌는 가소성이 있는지는 언어 발달의 신경학적 기반을 다루는 12장에서 더 자세히 살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