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본 학회에서 출간한 네 번째 도서로서, 내용의 시작 부분 ‘들어가며’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실천과 방향을 살펴보았고, 제1부 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역할과 위상을 알아보았다. 제2부에는 각 교육 현장의 세계시민교육을, 제3부에는 지역과 국가가 함께하는 세계시민교육을 논의하였으며, 마지막 ‘글을 마치며’에서는 종합적 고찰 및 과제와 제언을 담았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발간사
들어가며: 일본의 세계시민교육: 실천과 방향
제1부 세계시민교육의 역할과 위상
제1장 일본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세계시민교육(GCED)의 쟁점
1. 일본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
2. G7 교육정상회의 의제 선택과 ‘구라시키 선언’의 의의
3. 일본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실천 현황
4. 세계시민교육 실천 동향과 일본의 새로운 쟁점
5. ‘UN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에 대한 평가와 미래 전망
6. ‘지속가능개발목표 2030’과 일본의 세계시민교육 전망
제2장 세계시민교육과 일본의 학습지도요령
1. 세계시민교육의 등장
2. 세계시민교육의 다의성
3. 세계시민교육 지표의 개발
4. 일본의 2020 학습지도요령과 세계시민교육 지표
5. 세계시민교육의 실천을 위하여
제2부 교육현장의 세계시민교육
제3장 일본의 영·유아기 다문화 지원 사례
1. 들어가는 말
2. 다문화 영·유아 지원과 교육
3. 일본의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가정 영·유아 지원 사례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