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크게 제1부와 제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는 교육과정통합의 개념, 국가 수준의 통합교과,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교육과정통합의 운영 환경의 내용을 실었다. 그동안 논란이 적지 않은 교육과정통합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통합의 영역과 유형을 서로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교육과정통합 모형을 제시했다. 제2부에는 저자가 교육과정통합을 주제로 하여 학술지에 게재했던 논문을 실었다. 교육과정통합 목표로서의 인격통합과 전인, 교육과정통합 유형으로서 지식형식의 통합, 교육과정통합의 목표와 수단의 조직 방식, 학교 차원의 교육과정통합 모형, 학교 차원의 교과통합적 운영 방안과 과제, 교육과정통합 유형으로서의 프로젝트 학습이라는 주제를 다루었다. 이는 1980년대와 1990년대 발표한 논문으로,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지만 교육과정통합의 이론적 기반을 다지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