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dmin.hakjisa.co.kr/common_file/제목을%20입력하세요%20(92).png)
이 책의 내용은 크게 ① 일반 안전교육의 이론과 실제, ② 안전의식교육의 이론과 실제, ③ 안전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의 내용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전교육 모델과 실행, 의사소통, 코칭, 상담, 웹기반 비대면 교육 등은 물론 학교, 성인, 고령자, 집단안전교육 등 다양한 대상에 대한 안전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고 있다. 또한 안전교육이 실시되는 이론적 배경과 구체적인 안전교육을 실행할 경우 고려해야 할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위험보상 및 위험항상성 이론, 위험감수성이론, 위험고착 및 안전고착 양상과 안전의식 향상방법 등 안전의식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설명하고 있다. 왜냐하면 개인이 안전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안전을 중요시하는 의식이 바탕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사회교환이론과 기대이론 등 안전행동과 안전문화 그리고 서두름, 공동체 심리, 안전분위기, 사회적 환경과 같은 안전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 책이 인류의 안전이 보다 견고해지고 높은 차원으로 발전하는 데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사실 국민 안전을 정부의 핵심 국정목표로 삼고 공공기관의 평가에 있어 생명과 안전이 제1의 기준이 되도록 하겠다는 정책이 진행 중임에도 안전교육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 거의 없는 현실에서 길잡이를 자청하는 시도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책이 안전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널리 활용되기를 바라며 동시에 건설적인 비판과 조언을 통해 보다 훌륭한 안전교육 책으로 진화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