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제1부는 언어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언어의 정의와 기능, 언어의 구조, 언어학적 이론을 비교적 심도 있게 다루어 미래의 언어치료 전문가들이 언어 단위와 언어 영역에 대한 언어학적 지식을 갖추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제1부에서 다룬 언어발달을 위한 생물학적 조건에서는 실제 언어치료 전공자들이 하나의 전공과목으로 배우는 말기관과 언어기관의 해부생리학을 미리 쉽게 스케치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이 책의 핵심이 되는 제2부에서는 태아기, 영아기, 아장이기, 학령전기, 학령기, 청소년기의 언어발달을 언어의 하위 영역(음운론, 형태론, 의미론, 통사론, 화용론)에 따라 기술하였다. 시기별 언어발달 특성을 기술함에 있어 이 책은 영어를 비롯한 인구어 발달 특성과 함께 국내외에 소개된 연구 자료를 토대로 한국 아동 및 청소년의 언어발달을 기술하였다. 이는 국내에서 교재로 사용되는 번역본과 가장 차별화되는 장점이 될 것이다. 제3부는 세 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다문화 가정 아동 및 청소년의 언어발달 특성을 다루면서 이중언어 및 언어차이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이어지는 장에서는 언어발달장애가 무엇인지, 어떻게 평가하고 중재하는지에 대해 다루었다. 아울러 단순언어장애, 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청각장애와 같은 관련 장애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미래 언어치료 전문가의 부모 상담 및 교육을 위해 아기들이 태어나 자랄 때 어떠한 요인이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어떻게 하면 언어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지 다루었다. 이 부분은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님이 직접 읽어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