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이 사회복지실천과 어떤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제2부에서 제4부까지 논의될 주제의 기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이해에 필요한 기초적 논의와 함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 대한 지식이 사회복지실천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며, 이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 다루었다. 제2장에서 제4장까지는 인간의 발달과 성격, 사회체계와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에 대한 기본 이해를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제2부에서 제4부까지에 걸쳐 상세하게 논의할 내용에 대한 기본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2부는 인간 발달과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인간 발달의 단계를 태내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년기, 중·장년기, 노년기로 구분하여 단계별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이라는 세 영역으로 나누어서 논의하였다. 그런 다음 발달 단계와 영역별로 사회복지실천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을 제시함으로써 인간발달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사이에 다리를 놓아 보려 하였다. 제3부는 인간 성격과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즉, 정신분석이론, 분석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대상관계이론, 교류분석이론, 인본주의이론, 행동주의이론, 인지이론을 중심으로 인간 성격이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각 장은 인간관과 가정, 주요 개념, 성격 발달,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부는 사회체계와 사회복지실천과 정책의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이 부분은 한국사회복지대학교육협의회의 교과목 지침의 개정(2018년) 사항을 반영하여 2판에서 집중적으로 보완한 부분이다. 사회환경, 즉 사회체계에 관한 이론으로 소집단이론, 일반체계이론, 생태학적 이론, 구조기능주의이론, 갈등이론, 상호작용이론, 교환이론, 여성주의이론, 다문화이론을 다루었다. 각 장의 구성은 사회관과 가정, 주요 개념, 사회변동과 발전에 대한 관점 그리고 사회복지실천과 정책에의 적용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