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akjisa.co.kr/pr/news/2020-images/20210121.gif)
이 책에서는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 운영을 위해 영유아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서 ‘중심축 행동’ 발달을 계획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반응성 상호작용 전략’을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에 적용하여 교사들이 현장에서 아동중심 놀이활동을 운영하는 데 이해와 실현을 돕고자 하였다.
크게 ‘I.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 운영’과 ‘II.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활동 실제’의 두 부분으로 구성하여 실제 적용을 돕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I.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 운영’은 제1장 개요, 제2장 평가지표를 반영한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활동, 제3장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놀이활동일지 작성, 제4장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 지원으로 구성하여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놀이활동 운영을 위한 교수 운영 목표를 설정하며,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놀이활동 운영을 계획하고 기록하기 위한 일지 작성 지침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II. 놀이중심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활동 실제’는 제5장 만 0~2세 영아 놀이활동 관찰 및 기록, 제6장 만 3~5세 유아 놀이활동 관찰 및 기록으로 구성하여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놀이활동으로서 영아반은 15개, 유아반은 18개의 활동을 예시하였다. 특히 제5장과 제6장에서는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를 적용하여 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어린이집의 실제 놀이활동 사례를 제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