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기초, 인간 발달과 사회복지실천, 인간 성격과 사회복지실천, 그리고 사회체계와 사회복지실천이라는 네 가지 영역에 관한 주요 이론과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방안을 다루고 있다. 제1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기초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지식이 사회복지실천과 어떤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다루고, 제2∼4부에서 논의될 주제의 기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이해에 필요한 기초적 논의와 함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 대한 지식이 사회복지실천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며, 이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 다루었다. 제2장은 인간의 발달과 성격, 사회체계와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에 대한 기본 이해를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제2∼4부에서 상세하게 논의할 내용에 대한 기본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2부는 인간 발달과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인간 발달의 단계를 태내기, 영아기, 유아기(걸음마기와 학령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청년기와 성년기), 중·장년기, 노년기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신체·심리·사회적 발달이라는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논의하였다. 그런 다음 발달 단계와 영역별로 사회복지실천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을 제시함으로써 인간발달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사이에 다리를 놓아 보려 했다. 제3부는 인간 성격과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즉, 정신분석이론, 분석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인본주의이론, 행동주의이론, 인지이론을 중심으로 인간 성격이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각 장은 인간관과 가정, 주요 개념, 성격 발달,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부는 사회체계와 사회복지실천의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사회환경, 즉 사회체계에 관한 이론으로 일반체계이론, 생태학적 이론, 구조기능주의이론, 갈등이론, 상호작용이론, 교환이론, 여성주의이론 그리고 다문화이론을 다루었다. 각 장은 사회관과 가정, 주요 개념, 사회변동과 발전에 대한 관점, 사회복지정책과 실천에 대한 함의로 구성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