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에서는 유아문학의 정의와 유아의 발달에 필요하고 유아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그림책을 소개하였다. 유아문학을 연구하는 일곱 가지 접근 방법도 포함하였는데, 2판 부록에 수록한 연구 논문은 삭제하였다. 그 대신에 그림책의 문학 요소 중 배경과 관점에 대한 부분을 보완하였고 그림 부분에서는 타이포그래피를 추가해서 설명했다. 그림책의 역사에서는 우리나라와 서양을 시대별로 고찰하였는데, 2016년 이후 새로 나온 책들과 아동문학상 수상작을 많이 보완하여 소개하였다. 제2부에서는 유아문학, 그림책의 종류를 글이 있는 것과 글이 없는 것으로 나누었고, 더 구체적으로는 장르별로 살펴보았으며, 영아용 그림책도 따로 살펴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제3부에서는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유아문학의 교육적 접근에 대해 제시하였다. 제1, 2부에서는 그림책의 장르별 특성과 문학 요소와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해 꼼꼼히 들여다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제3부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그림책을 읽어 주는 방법과 활동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그림책을 가지고 독서치료를 하는 부분도 포함하였는데, 우리나라 독서치료 발전과정에서 소개했던 관련 학위 논문은 대부분 삭제하였다. 시 치료 단계와 그림책 관련 질문을 추가하였고, 주제별·연령별로 새로 나온 그림책들을 보완해서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