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정판은 우리 사회의 급속한 변동으로 인해 변화된 여성복지의 현황과 실태, 여성복지정책 및 다양한 프로그램과 실천기술을 정리·소개하고, 동시에 새로운 이론과 접근방법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성차별과 성불평등에 의해 야기된 각종 여성 문제와 여성복지에 관심이 있는 여러 학계 관련자 및 연구자뿐 아니라 현장에서 여성복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애쓰고 있는 실무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3판에서는 여성복지의 실천 영역을 좀 더 다양하게 구성하였으며, 여성복지의 전 망과 과제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3판은 전판과 달리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여성복지의 기초’는 여성복지의 기초가 되는 다양한 여성연구와 여성복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총 2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2부 ‘여성복지의 이론과 실천방법’은 구체적인 여성복지의 여러 접근방법을 거 시적·미시적 접근방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총 3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3부 ‘여성복지의 실천 영역’은 제1부와 제2부의 이론적 접근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적으로 여성복지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천 영역을 살펴보는 것으로서, 특히 한국 여성복지의 중요한 실천 영역들을 제시하여 각 영역별 문제, 서비스 현황, 대책 등을 총 9개의 장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제4부 ‘여성복지의 전망’은 결론부분으로서 하나의 장인 제15장으로 되어 있는 데, 여기서는 여성복지 환경의 변화, 미래 여성복지에 대한 전망 및 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