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더듬 아동 중재에서의 어려움은 임상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말더듬 치료 프로그램과 활동자료의 부족이라고 호소한다. 최근 유창성에 관한 저서들이 조금씩 출판되고 있으나 대체로 강의용 교재이며 임상이나 치료에 대한 내용을 실제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못하다. 언어치료사들이 말더듬 중재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는 주로 교재, 연수나 워크숍과 같은 교육, 논문 등이다. 이러한 경로로 정보를 얻었더라도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에 맞게 재구성하여야 하며, 활동자료 등을 일일이 준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 책에서는 말더듬 관련 문헌을 토대로 임상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유창성 증진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내면적 특성보다 행동적인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주로 행동 변화에 치료의 초점을 두었다. 학령 전기 아동의 유창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 환경, 유창성 증진 기법, 중재단계 등을 고려하여 ‘말더듬 아동을 위한 유창성 증진(Fluency Up: FU) 프로그램’과 말더듬 아동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각 단계마다 목표에 해당하는 활동내용과 활동자료를 개발하였다.
◆ 이 프로그램의 세부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말더듬의 심한 정도에 따라 적절한 중재단계를 제공한다. - 한국 말더듬 아동에게 적합한 활동내용과 활동자료를 제공한다. - 체계적인 말더듬 중재 이정표를 제공한다. - 아동의 말더듬 행동특성에 따라 중재단계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