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이 있는 학교(급)에서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을 체계적이고 실제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여러 문제행동 중재 접근법 중에서도 기능적 접근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학생의 문제행동은 학습된 작동행동(operant)이다.’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그 행동을 발생시키는 배경사건, 선행사건을 파악하고, 유지시키는 강화요소를 분석하는 절차를 제시한다. 특히 일선학교(급) 현장에서의 ‘기능적 행동평가’ 실시, ‘행동지원계획 수립 및 평가’와 같은 실제적인 절차를 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긍정적 행동지원 수행 과정에 필요한 학교 역량 개발과 교직원 조직·운영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다른 문헌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Part I은 학교 시스템 내에서 기능적 행동평가(FBA)를 적용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역사와 현황을 제공한다. Part II는 세 명의 예시 학생에 대한 행동지원계획(BSP)을 설계하고 평가하기 위한 FBA 과정을 보여 준다. Part III는 학교 및 교육청에서 FBA 기반 행동지원계획(FBA-BSP) 시스템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체계를 제시한다. Part IV는 FBA-BSP 절차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및 FBA-BSP를 적용하는 집단과 제한점에 대해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