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기본적으로 애착 이론에 근거해서 다양한 분야, 예를 들면 발달심리학과 가족학, 그리고 가족치료에서의 접근들을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틀인 체계 간 접근을 통해 내담자 개인의 개인과 결혼, 가족에서의 주요 행동 및 특정 관계 영역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가계도를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제까지 발달심리나 가족치료 분야, 가족학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산되어 있던 중요한 개념들을 연결하여 통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아동기 애착과 성인기 애착을 가족 체계 모델과 결부시킨 가족 연결 지도의 구성은 매우 의미 있는 창의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부는 체계 간 접근과 애착이론의 통합에 대해, 제2부에서는 초점화된 가계도와 치료적 자세에 대해, 그리고 제3부는 새롭게 확장된 애착에 초점화된 가계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1부 제1장에서는 초점화된 가계도의 이론적 토대인 체계 간 접근에 대해 설명하면서 체계 간 접근과 애착 이론의 통합과 임상적 실무 현장에서의 적용 방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애착 방식의 세대 간 전이에 대한 평가를 다루고 있는데 애착에 초점화된 가계도가 체계 간 접근으로 애착 방식을 평가하는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임을 강조하고 있다. 제2부 제3장에서는 초점화된 가계도의 임상적 도구들, 즉 초점화된 가계도들과 지도들, 연대표 등을 소개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내담자와 애착에 근거한 치료적 동맹을 촉진시키기 위한 접근으로서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유대인 치료적 자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3부 제5장은 애착에 초점화된 가계도에 관한 것으로 애착 이론의 기초를 소개하고 애착과 관련된 기질, 접촉, 유대, 낭만적 사랑과 공감적 공명, 가족 구조 등의 구체적인 주제들을 설명한다. 제6장은 공정성에 초점을 둔 가계도를 소개하고 있다. 제7장은 젠더에 초점화된 가계도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였다. 제8장은 성에 초점화된 가계도를 다루면서 애착 이론과 성생활에 관한 주제들을 통합하여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9장은 학대, 폭력, 그리고 트라우마에 초점화된 가계도와 관련된 내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