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국내의 대학원에서 사회과학으로서 미술심리치료학을 전공하고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1세대 졸업생들이 그들의 대학원 지도교수와 함께 다뤄 놓은 자료들을 싣고 있다. 이들 1세대는 당연히 선배나 구축된 학문적 역사가 없었기 때문에 많은 부분 지도교수와 동료들을 의지하여 대학원 과정을 보냈다. 이 책은 이들에 의해 쓰였고, 이들이 체험하고, 이들이 다루어 놓은 전공 관련의 자료들을 소개하고 분석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체험 연구와 미술심리치료학 전공이라는 두 가지의 접근과 전공을 모두 중시하고 있다. 국내외를 통해 이를 함께 집중적으로 다루어 놓은 저서는 아직까지 만나 본 적이 없다. 이 책은 매우 다양한 자료를 압축적으로 다루었으며 동시에 연구 참여자가 체험한 내용을 창의적으로 제시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미술심리치료학 전공의 학위논문을 제출하여 학위를 취득한 15인의 석·박사학위 소지자가 이 책의 주인공들이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머리말
Part 1 미술심리치료학과 질적 연구
Chapter 1 미술심리치료학과 질적 연구
1. 미술심리치료학과 질적 연구의 개요
2. 체험연구와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3. 새로운 글쓰기로의 확장 가능성 시도
Part 2 미술심리치료학 학위논문에서 다루어진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유형과 주제별 분류
Chapter 2 학위논문에서 다루어진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유형별 분류
1. 임상미술심리치료를 다룬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2. 기관미술심리치료를 다룬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3. 의료미술심리치료를 다룬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4. 일반인을 위한 미술심리치료를 다룬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Chapter 3 학위논문에서 다루어진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주제별 분류
1. 슈퍼비전의 주제를 다룬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2. 미술심리치료사라는 주제를 다룬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3. 미술작업 관련 전공과목 체험을 다룬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Part 3 미술심리치료학에서의 미술과 저자들의 미술작업
Chapter 4 미술심리치료학에서의 미술과 미술작업
1. 예술로서의 미술
2. 미술교육에서의 미술
3. 미술심리치료에서의 미술
4. 미술심리치료학과 전공자의 미술작업
Chapter 5 저서 제작과정에서 다루어진 저자들의 미술작업
1. 저자들의 개인 미술작업
2. 저자들의 집단 미술작업
3. 저자들의 연구 참여자로서의 미술작업
Part 4 대학원과 미술심리치료학 전공의 선택
Chapter 6 대학원과 미술심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졸업생의 체험
1. 대학원 졸업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게 된 배경
2. 대학원과 미술심리치료학 전공에 대해 참여자가 다뤄 놓은 체험 자료
3. 참여자들이 다뤄 놓은 체험 자료의 분석
4. 대학원과 미술심리치료학 전공의 체험에 관한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