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은 정신의학자 Eric Berne이 창시한 성격이론인 동시에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이다. 이는 서로의 성격을 이해하고 건강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데 그 어떤 심리학적 접근방법보다 깊고 활용범위가 넓다는 정평을 받고 있다. 현대의 교류분석은 심리치료, 상담, 교육, 커뮤니케이션, 경영 훈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접근 방법으로 국제적 인정을 받고 있다.
이 책은 1987년에 출판된 후부터 전 세계 교류분석 전문가 양성의 기본 교재로 사용되었다. 한국어판은 2010년에야 학지사를 통해 모습을 드러냈다. 『TA Today(2nd ed.)』는 초판이 나온 지 25년이 흐른 후에야 나왔다. 이 개정판은 초판에 나온 Berne의 정통 이론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초판 발행 이후 새로이 변모된 풍부한 이론과 실제를 담았다.
이 책은 상담이나 심리치료 전문가 과정을 밟는 분들 외에도 부모, 교사, 기업의 관리자 및 회사원, 사회복지사, 경찰 및 보호관찰자, 종교 지도자 등 사람을 돕고 지도하는 분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역자 서문
2판 저자 서문
제1부 교류분석 개관
제1장 교류분석이란 무엇인가
교류분석의 주요 개념
교류분석의 철학
제2부 성격의 이해: 자아상태 모델
제2장 자아상태 모델
자아상태의 변화
자아상태 정의
세 가지 자아상태는 실제로 구별되는가
자아상태와 초자아, 자아, 이드
자아상태는 사물이 아니라 명칭이다
자아상태는 세 가지만 있는가
지나치게 단순화된 모델
제3장 자아상태의 기능분석
순응하는 어린이와 자유로운 어린이
통제적인 어버이와 양육적인 어버이
어른 자아상태
에고그램
기능모델이 사고와 감정을 배제하고 행동만 기술하는가
제4장 제2차 구조모델
제2차 구조: P 자아상태
제2차 구조: A 자아상태
제2차 구조: C 자아상태
제2차 구조의 발달
구조와 기능의 구별
제5장 자아상태 파악
행동적 진단
사회적 진단
역사적 진단
현상학적 진단
실제 상황에서의 자아상태 진단
집행 자아와 실제 자아
제6장 구조적 병리
오 염
배 제
제3부 커뮤니케이션 교류, 스트로크와 시간구조화
제7장 교 류
상보 교류
교차 교류
이면 교류
교류와 비언어
선 택
제8장 스트로크
자극-기아
스트로크의 종류
스트로크와 행동 강화
스트로크 주고받기
스트로크 경제
스트로킹 프로파일
자가 스트로크
스트로크에 ‘좋고’ ‘나쁜’ 것이 있는가